CentOS 6.8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CentOS ISO 파일을 내려 받아야 합니다.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CentOS 이미지 파일을 받아주시길 바랍니다.
https://wiki.centos.org/Download
이미지 파일을 받았다면 CentOS 설치를 하기 위해 VMWare를 실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2984B583EC55C27)
VM 실행 시키고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을 눌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F6F4B583EC55C05)
Typical 선택하고 "다음" 클릭 후 다음 단계로 넘어 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8ED4B583EC55D18)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을 누르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1594B583EC55D0A)
리눅스를 누르고 버전은 centos
64비트를 선택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D524B583EC55E23)
저장할 위치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 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CDF4B583EC55E0C)
디스크에 할당 디스크의 크기를 정하여 준다.
Split virtual diak into multiple
files 를 선택하고 다음단계로 넘어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6DD4B583EC55F31)
세팅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마지막으로 확인하고 세팅 되어 있는 값이 맞으면 Finish 를 눌러 마무리 짓는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6414B583EC55F31)
세부적인 셋팅을 하기 위해서 Edit virual machine settings 메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33147583EC5601C)
메모리는 2G를 주어 진행하는데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6F547583EC56136)
프로세서 코어 갯수를 2개로 설정해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DEC47583EC5610D)
CD/DVD에서 아까 다운로드 받은 CentOS 6.8 설치 이미지를 삽입해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24D47583EC56224)
Network Adapter는 NAT로 설정하여 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AA047583EC56202)
세부적인 세팅이 마무리 되어 있으면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 을 눌러 실행시켜 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540347583EC56339)
Memory test => 컴퓨터에 설치된 메모리 테스트를 해본다.
Rescue
installed system => 비밀번호 분실 복구 등 복구 모드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 => centos 6.8 설치
여기서 centOS설치를
하기 위해 "Install
or up grade an existing system" 눌러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D6347583EC56409)
ISO점검 창 => skip 을 눌러 넘어가 준다.
Ok 를 누르게 되면 test를 진행하게 되어
centos 설치가 늦어 지게 된다.
( 별 문제가 없다면 Skip을 눌러서 넘어가 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42747583EC56516)
centos 설치 하기 전
화면입니다 Next 를 눌러서 다음 단계로
넘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55247583EC56639)
언어를 "한국어" 로 선택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A2947583EC56721)
키보드에 입력받아야 할 언어를 선택 하는 과정
입니다. "한국어" 를 선택해 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54147583EC56829)
기본 저장 장치 => 컴퓨터 기본 하드디스크에 OS 설치
특별한 저장 장치
SANs => 저장 장치가 외부의 네트워크에 있다는 뜻
SANs 으로 구성할 경우 관리자에게 셋팅을 물어 보아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CAF47583EC56901)
Centos를 설치 하기 앞서 중요한 데이터가 없다면 " 예 모든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를 선택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43048583EC5692A)
호스트 명을 입력하여 줍니다. 그 후 네트워크 설정 버튼을 눌러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5B348583EC56A29)
네트워크 연결에서 설정을
바꿔 줘야 할 것을 위해 "변경
하기" 를 선택하여 들어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50048583EC56B17)
네트워크
연결을 원활히 하기 위해 " 자동으로
연결" 을 선택하고
나머지 설정은 그대로 둔 후 "적용" 버튼을 선택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사용할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창 입니다. "아시아 /서울" 을 선택하여 다음으로 넘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71D48583EC56D1D)
루트에서 사용 할 계정의 비밀 번호을 설정하여 줍니다.
(중요한
설정이니 안 까먹을 수 있도록 비번을 적어 두도록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36248583EC56E2E)
비번이 너무 단순하게
입력하게 되면 위의 창과 같이 경고 창이 뜨게 됩니다.
하지만 신경 쓰지 않고 "어쨌든 사용" 을 눌러
다음으로 넘어 가게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11248583EC56E32)
처음 리눅스를 설치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모든 공간 사용"을 선택하여 설치를 진행 하여 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5D54E583EC56F2F)
" 디스크에 변경 사항 기록 " 을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 가게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4814E583EC57004)
Centos에 추가 할 소프트 웨어
항목이 있다면 추가로 선택 하여 줍니다.
Centos 추가 설치 항목을 " 지금 선택" 을 선택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가 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A6A4E583EC5712D)
기본적으로 GUI 환경을 사용하기 위해 데스크탑을 선택한다..
리눅스의 GUI 환경 => KDE,
GNOME 등 여러 개가 있다.
리눅스는 GUI를 사용자가 선택 해서 사용 가능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8404E583EC57228)
응용 프로그램으로 들어가 TeX지원, 그래픽스 생성 도구, 기술 저작, 오피스
스위트/ 생산성, 이맥스,
인터넷 브라우저 ,인터넷 프로그램 등 모든 응용 프로그램 들을 선택 하여 줍니다.
그 후 "다음" 을 선택하여 넘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2334E583EC5730B)
설정이 완료 되면 다음을 눌러 설치를 시작 합니다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AA84E583EC57323)
centos 가 설치되고 있는 과정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4594E583EC5740F)
Centos 가 설치 가 완료 되면 이러한 창이 나오게 됩니다 .
"재부팅" 을 눌러 다음 과정으로 넘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EEE4D583EC57518)
Centos 가 부팅 되고 있는 화면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FE94D583EC5762F)
CentOS 가 부팅되고 난
후 "환영합니다" 라는 문구가 나오게 되면
앞으로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6A34D583EC5771C)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 하여 라이센스에 동의한다면 "앞으로"으로
눌러 다음 단계로 진행 합니다.
*GNU => 프로그램 및 source 파일까지 모두 공개
*GPLv2 => 마음대로 뜯어서 수정해서 사용해도 된다. 단 배포시에는 프로그램과 소스까지 모두 공개해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1334D583EC57828)
사용자
생성에서 사용자 이름과 성명을 입력 후 암호 설정이 끝나면 다음단계로 넘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1B44D583EC57930)
설정이
끝나면 다음 단계로 넘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25484D583EC57A2B)
암호가 취약 하는 경고 문구가 나오더라도 "예"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7364D583EC57A37)
날짜 및 시간을 설정 할 시에는 " 네트워크를 통해 날짜 및 시간을 동기화
" 를 선택하여 주시고
NTP 서버는 자신이 원하는 서버를 정하고
"앞으로" 버튼을 클릭해 넘어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8ED48583EC57B1E)
Kdump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선택하여 주고 "완료"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25D48583EC57C1E)
완료 버튼을 누르면 경고 창이 뜨게 되는데 여기서 "예" 선택 후 넘어 가게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A9D48583EC57E0B)
Centos
로그인 창이 나오게 되면 Root로 들어가기 위하여
"기타" 를 선택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E9848583EC57F2D)
기타를 선택 후 사용자 이름 "root" 입력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3C448583EC5800C)
암호는
Centos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입력 했던 비밀 번호를 입력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05048583EC58116)
로그인이 완료하게 되면
Centos 바탕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CentOS 6.8이 설치 완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