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실행하게 되는데요.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실행하기 위해서 중요한것 중 하나가 컴퓨터 메모리 입니다. 컴퓨터의 메모리가 많으면 많을 수록 여러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실행이 가능한데요.

그런데 대부분의 컴퓨터 초보자 분들은 내가 사용하는 메모리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cpu-z를 이용하여 컴퓨터 메모리 확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cpu-z의 경우 내 컴퓨터 안에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나 램, 하드 등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컴퓨터 메모리 확인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메모리 확인 방법 알아보기


먼저 컴퓨터 메모리 확인을 위해서는 cpu-z라는 유틸리티를 다운받아야 합니다. cpu-z는 구글에서 검색해 보시면 사이트가 나오기 때문에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받으시면 되는데요. 아래 남겨드린 주소를 클릭해서 cpu-z 홈페이지로 들어가주세요.


https://www.cpuid.com/softwares/cpu-z.html



cpu-z 홈페이지가 뜨면 하단에 다운로드 페이지가 있는데요 현재 cpu-z 최신버전은 1.92 버전인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왼쪽에 cpu-z 설치버전과 무설치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해서 다운받을 수 있는데요.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무설치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활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cpu-z 다운로드 페이지가 뜨면 download now 버튼을 눌러서 cpu-z를 내려받아주시길 바랍니다.




다운로드 받은 cpu-z 무설치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을 압축해제해 주셔야 합니다. 그 후 cpu-z 폴더로 들어가 보면 32비트와 64비트 버전 두가지가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그 중 내가 사용하는 운영체제 버전에 맞는걸 실행해주세요. 




cpu-z를 처음 실행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면서 cpu-z 로딩이 진행되는데요. cpu-z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cpu-z가 실행되면 가장 먼저 내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cpu가 무엇인지 알려주는데요. 우리는 메모리 정보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상단에 있는 메뉴 중 memory 탭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메모리 탭을 누르면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가 ddr3 인지 ddr4인지 타입이 나오게 되며, 총 메모리 용량 및 클럭 정보가 나오게 됩니다.




상단 메뉴 중 spd 메뉴를 선택하면 메모리 슬롯 별로 상세한 메모리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ddr3 4GB 메모리를 듀얼로 사용하고 있어서 위와 같이 나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메모리의 크기와 제조사, 시리얼넘버, 제조일자 등 다양한 메모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고, 하단에는 전압 및 기타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cpu-z를 이용한 컴퓨터 메모리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하다보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사용하게 되는데요. 오늘도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다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네요.



현재 PC에서는 이 앱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라는 에러 메시지 입니다. 이 에러 메시지의 경우 윈도우10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UAC (사용자 계정 컨트롤) 기능 때문에 발생한다고 하네요.


따라서 위와 같은 에러가 나타날 때에는 윈도우의 UAC 사용자 계정 컨트롤 기능을 꺼주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 실행이 가능한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위 에러를 없앨 수 있는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pc에서는 이 앱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해결방법


윈도우의 바탕화면에 시작메뉴를 눌러주세요.





시작 창이 뜨면 제어판이라고 검색을 해주세요. 그러면 제어판 항목이 나타날텐데 해당 제어판 항목을 마우스로 눌러주세요.





제어판 창이 뜨면 여러가지 다양한 제어판 메뉴 중 사용자 계정 메뉴를 눌러주세요.





사용자 계정 창이 뜨면 다시 한번 상단 위쪽에 있는 사용자 계정 메뉴를 눌러주세요..





사용자 계정 변경 창이 뜨면 하단에 있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변경 메뉴를 눌러주세요. 해당 메뉴에서 UAC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을 바꿔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창이 뜨면 왼쪽의 설정 레벨을 알리지 않음으로 변경해주세요. 그러면 아까 보았던 현재 pc에서는 이 앱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에러 메시지는 나오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UAC 설정을 알리지 않음으로 변경할 경우 컴퓨터 보안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위 에러가 발생하는 프로그램 설치 후에는 다시 원래대로 설정을 변경해 주시는게 좋습니다.


지금까지 현재 pc에서는 이 앱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에러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포토샵으로 png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포토샵의 경우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중 하나로 저도 가끔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포토샵으로 작업한 파일을 png 확장자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요. png 파일은 파일의 용량은 jpg 보다 크지만 사진이 더 선명하고 배경 투명화도 제공하기 때문에 요즘 많이 사용하는 이미지 확장자 중 하나입니다.


포토샵으로 png 파일 저장하는 방법은 의외로 쉬운데요.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거나 잘 모르는 분들이 있는거 같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포토샵으로 png 저장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포토샵 png 저장 방법 이렇게 해보시죠


먼저 포토샵으로 png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포토샵을 실행해야 겠죠?? 내 컴퓨터에 설치된 포토샵을 실행해 주세요.


※ 저는 Adobe Photoshop CS6 버전으로 테스트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포토샵 프로그램이 열리면 [파일 -> 열기] 메뉴를 선택해서 png 파일로 저장할 파일을 먼저 불러와야 합니다.





열기 창이 뜨면 png 파일로 저장하고 싶은 이미지 파일을 선택해 주시면 되는데요. 저는 윈도우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파일로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정상적으로 이미지가 오픈되었습니다. 이제 오픈된 이미지를 내가 원하는대로 편집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편집이나 수정작업이 다 된 후 png 파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파일 -> 웹용으로 저장] 메뉴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웹용으로 저장 창이 뜨면 상단 우측에 사전 설정이라는 메뉴가 있는곳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png-24를 선택해 주세요. png-24를 선택하면 이미지를 png로 저장할 수 있는데요. 하단에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른 이름으로 저장 창이 뜨면 내가 원하는 위치에 해당 png 파일을 저장해 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포토샵에서 png 파일 저장이 완료되었다면 위와 같이 기존에 jpg였던 이미지 파일이 png로 확장자 변경이 된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포토샵 png 저장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부분 윈도우를 사용하다 블루스크린, 악성코드 등 문제가 생기면 안전모드로 부팅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그래서 한 두번쯤은 대부분 PC 사용자들이 안전모드 부팅을 사용하는데요.


안전모드는 드라이버도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부팅시 시작프로그램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운영체제 자체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한 대부분 부팅이 된답니다.


그런데 윈도우10을 사용하다 보니 기존 윈도우처럼 부팅시 F8키를 누르면 고급부팅옵션 창이 뜨지 않네요.

알고보니 윈도우10에서는 윈도우에서 따로 설정해주어야 안전모드로 부팅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저 처럼 윈도우10에서 안전모드 사용하는 분들을 위서 안전모드 부팅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 완전 쉬운방법 알려드릴께요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을 위해서는 먼저 시작버튼을 눌러주세요.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누르면 전원 버튼을 누르고 다시시작 버튼을 누르면 되는데요. 여기서 주의할점은 다시 시작 버튼을 누를 때 키보드의 Shift키를 동시에 같이 눌러 주셔야 합니다.






다시시작을 shift 버튼과 함께 눌렀다면 위와 같이 옵션 선택 창이 뜨는데요. 이 화면은 고급부팅옵션 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을 위해서 문제 해결 버튼을 눌러주세요.






문제 해결 메뉴가 나타나면 고급 옵션 버튼을 눌러주세요.






고급 옵션 창이 뜨면 왼편에 시작 설정이 있습니다. 이 시작 설정 메뉴를 눌러주세요.






시작 설정 메뉴가 나타나면 안전모드, 디버깅 모드, 부팅 로깅 사용 등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다시 시작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컴퓨터가 재부팅 된 후 시작 설정창이 다시한번 나오는데요. 여기서 키보드로 4번을 눌러서 안전모드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안전모드에서 인터넷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번을 눌러서 안전모드(네트워킹 사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또한 명령 프롬프트 사용, 디버깅 사용, 저해상도 비디오 사용,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 안 함 등 다양한 옵션이 있으니 현재 상황에 맞는 옵션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검은색 바탕화면에 안전모드라는 단어가 나오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안전모드에서 컴퓨터 오류를 잘 고쳐 보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윈도우10 안전모드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컴퓨터가 블루스크린이 뜨거나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안전모드로 부팅한 후 최근에 설치한 프로그램이나 업데이트를 제거하면서 문제를 해결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 알아볼 정보는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크기 변경 방법입니다. 대학생들이나 직장인들 누구나 파워포인트는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데요.


파워포인트를 사용하다 보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던 슬라이드 크기를 변경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파워포인트 사용에 익숙하지 않다면 어떻게 슬라이드 크기를 조절해야 될 지 모르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크기를 어떻게 하면 바꿀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만 어렵지 한번 해보고 나면 쉽게 변경할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크기조절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워포인트(ppt) 슬라이드 크기 조절방법 알아보기


먼저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크기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ppt를 실행시켜야 하는데요. PC에 설치된 powerpoint를 실행시켜 주시길 바랍니다.





파워포인트가 열리면 상단 메뉴들 중에서 디자인 탭을 선택해주세요.





디자인 탭을 선택하면 우측에 사용자지정 메뉴가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사용자지정 메뉴에서 [슬라이드크기 -> 사용자 지정 슬라이드 크기] 메뉴를 선택해주세요.


※ powerpoint 2016 버전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버전에 따라 메뉴가 다르게 보일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슬라이드 크기 창이 뜨면 너비와 높이를 내가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슬라이드 방향도 세로와 가로 중 원하는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너비를 50cm, 높이를 30cm로 지정해 보았습니다. 사용자지정 옵션 말고도 A4 용지 크기, A3 크기 등 내가 원하는 용지에 맞게 크기를 선택할 수 도 있답니다.




슬라이드 크기를 변경하면 기존에 있던 슬라이드 크기를 조절할 지 묻는 창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여기서는 기존 콘텐츠 크기를 최대화 할 껀지 맞춤으로 변경할 지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정상적으로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크기가 변경이 되었네요. 이제 변경된 크기에 맞게 파워포인트를 이용해서 다양한 작업들을 해보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크기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하마치2 프로그램은 따로 떨어져 있는 사람들끼리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대부분은 마인크래프트나 기타 게임을 여러 사람들이 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꼭 게임할 때 사용하지 않더라도 여러가지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같은 네트워크 공간을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하기 딱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만들어 진지 한 10년이 넘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된 프로그램인데요. 저도 중학교와 고등학교 때 친구들과 다양한 게임을 하기 위해서 사용했던 경험이 있네요.


아무튼 하마치2 프로그램은 영어로 되어 있고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사용하는지 잘 모르시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하마치2 다운로드 및 설치한 뒤 사용을 해야 하는지 쉽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마치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방법 알아보기


먼저 하마치2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구글에서 hamachi를 검색해 주세요. 그러면 하마치를 다운 받을 수 있는 홈페이지가 나올텐데요. 해당 하마치 사이트로 접속해 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하마치2 사이트가 뜨면 중간에 있는 download now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하마치는 윈도우 뿐만 아니라 맥과 리눅스에서도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입니다.






하마치2 설치 창이 나타나면 설치할 때 사용할 언어를 선택해 주세요.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제공하기 때문에 한국어를 선택하면 되지만 영어나 다른 언어도 제공하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걸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하마치2 사용하기 전 라이센스와 이용약관 창이 나오면 잘 읽어보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하마치2 설치 옵션을 선택하는 창이 뜨면 설치를 할 위치와 프로그램 메뉴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하마치2 설치 전 기타 다른 프로그램도 같이 설치할 지 물어보는데요. 설치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그냥 넘어가 주시면 될 거 같고 하단에 설치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하마치2 설치가 진행 중입니다. 기다려 주시면 될 거 같고 만약 중간에 UAC라고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나오면 예를 눌러야 정상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점 참고해주세요.






하마치2 설치가 완료되면 하단에 마침 버튼을 눌러 설치를 끝내 주시길 바랍니다.






하마치2가 실행된 화면인데요. 하마치2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단에 전원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로그인 창이 나오는데요. 하마치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진행해야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데요. 계정이 있는 경우 로그인을 해주시고 계정이 없으면 가입을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하마치2가 실행이 되는데요. 이제 내가 원하는 하마치2 기능을 마음껏 활용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하마치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컴퓨터 동영상 프로그램인 VLC 플레이어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LC 플레이어의 경우 여러가지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데요. 컴퓨터에 있는 동영상 파일 플레이는 기본이며, 네트워크 상에 동영상을 스트리밍으로 플레이 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코덱을 설치하지 않아도 동영상을 플레이 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동영상 플레이어가 윈도우만 지원하는데 VLC 플레이어는 리눅스, 맥 OS,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좋은 기능을 제공하면서 프로그램은 무료 오픈소스 프로그램이라 누구나 무료로 설치해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저도 이 동영상 프로그램을 사용해 보니 정말 편하면서도 여러 기능을 제공해서 좋았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vlc 플레이어를 설치하고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동영상 프로그램 추천 - vlc 플레이어


먼저 vlc 플레이어를 다운받기 위해서는 vlc 플레이어 홈페이지로 접속을 해야 하는데요. 구글에서 vlc 플레이어를 검색하거나 아래 남겨드린 주소로 사이트 이동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videolan.org/vlc/index.ko.html




VLC 홈페이지가 뜨면 홈페이지 상단에 VLC 플레이어 다운로드 버튼이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VLC 플레이어 설치파일을 컴퓨터로 내려받아주세요.





VLC 플레이어 설치파일을 열면 위와 같이 설치시 사용할 언어를 선택하는 창이 나오게 됩니다. 한국어 선택 후 ok를 눌러주세요.





VLC media player 설치창이 뜨면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VLC media player 사용권 계약 창이 뜨면 다음 버튼을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VLC media player 구성 요소 선택창이 뜨면 연결할 확장자나 각종 설정을 내가 원하는대로 진행 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VLC media player 설치 위치는 기본경로로 지정하는것을 추천하지만 다른 경로에 설치하여도 괜찮습니다. 





VLC media player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자체가 가볍기 때문에 설치완료까지는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VLC media player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침 버튼을 눌러서 VLC 플레이어 설치를 마무리해 주시길 바랍니다.





vlc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VLC 미디어 재생기 창이 뜨면서 동영상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사용방법은 다른 동영상 플레이어와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쉽게 하실 수 있는데요. 내가 보고 싶은 동영상을 열어주시길 바랍니다.





테스트로 동영상을 하나 열어본 상태입니다. 따로 별도 동영상 코덱을 설치하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동영상 플레이가 되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컴퓨터 동영상 프로그램인 vlc 플레이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 동영상 코덱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동영상 파일들을 변환하지 않아도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지만 예전 기기의 경우 별도의 동영상 인코딩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별도의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환을 해줘야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한데요.



그래서 오늘은 바닥인코더를 이용하여 mp4 avi 변환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바닥인코더는 예전부터 사용된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으로 상당히 널리 알려져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바닥인코더를 설치해서 동영상 변환하는 방법은 간단해서 누구나 쉽게 mp4 avi 변환이 가능한데요. 지금부터 어떻에 바닥인코더를 설치하고 동영상 변환을 진행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닥인코더를 이용한 mp4 avi 변환 진행방법 알아보기


먼저 mp4 avi 변환을 하기 위해서는 바닥인코더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셔야 하는데요. google 검색창에 바닥인코더를 검색하시면 바닥인코더 사이트가 나타나는데요. 해당 바닥인코더 사이트로 접속을 해주세요.







바닥인코더 사이트가 뜨면 바닥인코더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소개가 나오는데요. 해당 인코더는 여러가지 동영상 파일들을 간편하게 다른 기기나 휴대용기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변환을 제공해 준다고 하네요.


하단에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바닥인코더 설치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한 점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바닥인코더 프로그램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바닥인코더 사용권 통합계약서 창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해당 내용들을 잘 읽어보고 확인하신 후 동의함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바닥인코더 설치 전 설치할 프로그램 요소선택창이 나타나는데요. 바닥인코더는 기본적으로 설치를 해주셔야 하며, 별집과 별메모 프로그램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데 필요 없는 경우 체크해제를 해서 설치하지 않도록 해주시길 바랍니다.







바닥인코더 설치 위치는 기본적으로 c드라이브 하위에 설치가 되는데요. program files 폴더 하위에 설치하셔도 되고, 별도의 다른 위치에 설치하셔도 되니 원하는 위치를 선택해서 설치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바닥인코더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설치는 한 1분에서 2분 사이에 설치가 완료되지만 구형 컴퓨터나 os를 사용하고 계신 경우에는 설치시간이 조금 더 늘어날 수 있는 점 참고해주세요.







바닥인코더 프로그램이 설치 완료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요. 하단에 특정 사이트 바로가기 생성 메뉴는 체크를 해제해 주셔야 쓸모없는 바로가기들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바닥인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면 이제 인코딩 할 파일들을 선택해 주셔야 하는데요. 중간에 파일추가 버튼을 선택하셔서 인코딩 할 동영상 파일을 선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파일추가 창이 나오면 저는 mp4 파일을 avi 파일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mp4 파일을 선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꼭 mp4 파일이 아닌 다른 확장자를 변환하고 싶다면 원하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정상적으로 mp4 파일을 불러왔다면 이제 어떠한 확장자로 인코딩을 할 지 선택해 주셔야 하는데요. 중간에 환경설정 버튼이 있을텐데 해당 설정 버튼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환경설정 창이 나타나면 상단에 출력형식에 avi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avi 말고도 다른 확장자 선택이 가능합니다. 또한 설정창에서는 비트레이트와 프레임, 동영상 크기, 압축방식 등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니 원하는 설정을 진행하고 하단에 확인 버튼을 눌러 설정을 저장해 주시길 바랍니다.








모든 설정이 완료된 경우 이제 동영상 인코딩을 시작해야 하는데요. 하단 우측에 인코딩 시작 버튼을 눌러서 동영상 인코딩을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동영상의 크기와 용량, 사용하는 컴퓨터의 cpu 종류, ssd와 그래픽카드의 장착유무와 성능에 따라서 인코딩 시간은 천차만별인데요. 오래 걸릴수도 있으니 작업이 완료될 때 까지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동영상 인코딩 변환이 완료된 경우 작업완료된 폴더에 가시면 변환된 동영상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기존의 mp4 파일이 avi로 정상적으로 변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바닥인코더를 이용한 mp4 avi 변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정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회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가 바로 아웃룩입니다. 아웃룩을 처음 접하게 되는 이유 중 대부분이 회사에서 사용하기 때문일텐데요.


처음 아웃룩을 접하게 되면 맨 처음 계정설정부터 해야합니다. 하지만 처음 사용하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헤매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아웃룩을 처음 사용시 메일 계정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본 페이지에서 계정설정은 구글의 지메일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웃룩 메일 연동 어렵지 않게 차근차근 따라해보세요


자신의 PC에 설치된 아웃룩을 실행시켜주세요. 그 후 왼쪽 상단에 파일을 클릭합니다.





그 후 나오는 창에서 계정설정 버튼을 선택 해 주세요.




계정설정 창이 뜨면 전자 메일 -> 새로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새 계정 추가 창이 뜨면 전자 메일 계정을 선택하고 다음을 선택합니다.





그 후 수동으로 서버 설정 또는 추가 서버 유형 구성을 선택하고 다음을 선택합니다.





서비스 선택하는 선택창이 뜨면 인터넷 전자 메일을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그 다음 이메일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 입력을 정확하게 해야 아웃룩에서 메일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사용자 이름은 자신이 알 수 있는 이름으로 지정해주세요.

전자메일 주소는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계정유형은 POP3와 IMAP 둘 중 하나 선택 가능하지만 IMAP을 선택하는걸 추천합니다.

IMAP의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메일함을 폴더 형태로 지원

2. 서버의 메일함과 메일 프로그램의 메일함 및 그 내용을 서로 일치하도록 동기화

3. 메일의 일부분을 미리 읽어오는 것이 가능

4. 여러 기기에서 메일에 액세스하는 데 더 효과적


서버정보는 자신이 사용하는 메일 회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각각 회사에 맞는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구글 Gmail과 네이버 메일의 IMAP 방식 정보만 알려드리니

POP3 방식이나 다른 웹사이트 메일 계정을 사용하는 분들은 각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설정값을 입력하시길 바랍니다.


구글 메일 설정 정보


받는 메일(IMAP) 서버 - SSL 필요

imap.gmail.com

포트: 993

SSL 필요: 예

보내는 메일(SMTP) 서버


smtp.gmail.com

포트: 465(SSL) 또는 587(TLS)

SSL 필요: 예

TLS 필요: 예

인증 필요: 예

받는 메일 서버와 동일한 설정 사용


네이버 IMAP 주소 : imap.naver.com

IMAP 포트 번호 : 993 / 보안 연결 필요(SSL)

네이버 SMTP 주소 : smtp.naver.com

SMTP 포트 번호 : 587 / 보안 연결 필요(TLS, TLS가 없는 경우 SSL로 연결)


그 다음 로그인 정보에는 각 웹사이트 메일 접속 시 사용하는 ID/PW를 입력해주세요.


모든 설정을 완료했다면 하단에 기타설정을 선택하세요.




기타 설정을 할 수 있는 창이 뜨면 보내는 메일 서버 탭 -> 보내는 메일 서버 인증 필요를 선택해주세요.




그 후 고급탭에 들어가 각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버 포트 번호와 연결방식을 설정해주세요. 구글 같은 경우는 설정값이 위와 같습니다. 설정 후 확인을 눌러 창을 닫아주세요.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상단에 계정 설정 테스트를 선택하세요. 테스트 결과 위와 같이 완료가 뜨면 정상적으로 설정 완료된 상태입니다.





아웃룩 메일 계정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마침을 선택해 설정창을 닫아주세요.





설정 완료 후 확인해 보니 현재 제 메일계정안에 받은 편지함과 보낸 편지함에 있는 메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일 보내는 것도 이상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아웃룩 메일 계정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처음 아웃룩을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다소 설정 방법이 어려울 수 있으나 차근차근 따라하면 모두 메일 계정 설정을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아웃룩을 이용해 메일을 사용하고 싶다면 지금 바로 위 방법처럼 계정을 설정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유무선 공유기를 사용하다 보면 속도가 느려지고 끊기는 등 각종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공유기를 껐다 키면 정상적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가끔 공유기 재부팅 후에도 동일하게 오류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럴 경우에는 공유기를 초기화 시켜야 합니다.


공유기를 초기화하면 기존 공유기에 있던 설정은 모두 날라가기 때문에 초기화를 하기 전 중요한 설정은 백업해 두는것이 좋고, 초기화는 신중하게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초기화 방법에는 하드웨어적 방법과 관리창에서 하는 방법 두가지가 있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초기화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iptime 공유기 초기화 방법 두가지 중 쉬운걸로 해보세요


1. 공유기 관리도구에서 초기화 하기


공유기 초기화는 iptime 관리도구에서 할 수 있습니다. 웹브라우저를 실행 시킨 후 주소창에 http://192.168.0.1을 입력하세요.





iptime 공유기 초기화를 위해서는 iptime 관리자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초기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admin/admin이며, 변경한 적이 있으면 해당 아이디와 암호 입력 후 로그인을 해주세요.




iptime 설정창이 뜨면 관리도구 메뉴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관리도구 창이 뜨면 왼쪽 메뉴탐색기에서 고급설정 메뉴를 선택하세요.





고급 설정을 선택했다면 이제 [시스템 관리 -> 기타 설정]을 선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기타 설정 창이 뜨면 중간에 [설정 백업/복구] 메뉴를 선택하세요. 그 후 하단에 있는 초기 설정 복원 버튼을 눌러주세요.





공유기 설정을 초기화하면, 공유기를 재시작 해야 한다는 창이 뜹니다. 여기서 확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공유기가 재시작 되면서 모든 설정이 초기화 됩니다.





2. 하드웨어에서 초기화 하기


만약 공유기 비밀번호를 모르거나 설정화면이 접속되지 않는다면 공유기 자체에서 초기화를 시켜야 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공유기 뒷면을 보면 아이피타임 같은 경우에는 우측에 RST/WPS 라는 리셋버튼이 있습니다.


초기화 전에는 공유기의 CPU LED가 1초 간격으로 깜빡일텐데요. 초기화를 위해서는 리셋버튼을 10초 정도 눌러주세요. CPU 불빛이 빠르게 깜빡이면 리셋버튼에서 손을 놓아주세요. 그럼 공유기가 공장초기화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공유기를 초기화 한 후에는 반드시 보안을 위해 무선인터넷 암호설정을 해야 합니다.


[PC Tip] - iptime(아이피타임) 공유기 비밀번호 설정방법


비밀번호 설정방법은 위 글을 참고해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iptime 공유기 초기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