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삼성 SL-J1660 드라이버 설치방법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SL-J1660은 잉크젯복합기로서 인쇄는 물론이고 복사와 스캔까지 가능한 제품입니다.


해당 제품은 usb만 연결하면 쉽고 빠르게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포토 프린터로 사용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가격도 5만원대로 저렴하게 구매해서 사용해 보실 수 있는데요. 해당 제품을 구매하고 나서 프린트나, 문서스캔, 복사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100%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SL-J1660 드라이버를 설치해 주셔야 합니다.


삼성 SL-J1660 드라이버는 삼성 다운로드 센터에 접속하시면 바로 해당 모델에 맞는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를 해보실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드라이버를 다운받은 후 설치해 볼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SL-J1660 드라이버 설치하는법 알아보기


먼저 삼성 SL-J1660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삼성 다운로드 센터로 접속을 해야 하는데요. 구글에서 삼성 다운로드 센터를 검색하신 후 해당 사이트로 접속을 진행해주세요.





삼성 다운로드 센터 창이 뜨면 하단에 프린터/복합기/소모품 항목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어떤 프린터/복합기/소모품을 가지고 있냐고 묻는 페이지가 뜨면 우측에 [제품 모델명 입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제품 찾기 창이 뜨면 내가 가지고 있는 프린터 모델명을 입력해 주시면 되는데요. 우리는 삼성 SL-J1660 드라이버를 다운받아야 하기 때문에 SL-J1660을 검색해주세요.


그러면 잉크젯복합기 검색결과가 하나 뜨는데 해당 항목을 선택해주세요.






매뉴얼 & 다운로드 페이지가 뜨면 하단에 프린터/스캔 드라이버가 있을텐데요. 해당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삼성 SL-J1660 드라이버 설치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소프트웨어 설치창이 뜨는데요.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소프트웨어 최종 사용자 사용권 계약 창이 뜨면 해당 내용을 잘 읽어본 후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삼성 SL-J1660 드라이버가 설치중입니다. 설치가 마무리 될 때까지 잠시만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삼성 SL-J1660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되면 위와 같이 완료 창이 뜨는데요. 하단에 완료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마무리 해주세요. 그 후 프린터를 컴퓨터에 연결했다면 정상적으로 프린터나 복사, 인쇄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삼성 SL-J1660 드라이버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윈도우10에서 볼 수 있는 runtime broker 프로세서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runtime broker 프로세서의 경우 특정 앱이 실행될 때 권한을 설정하고 각 사용자 설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 입니다.


또한 카메라, SD카드, 마이크 등 외부 장치를 사용할 때 하드웨어 연결을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역할도 한다고 하는군요. 따라서 윈도우10을 사용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runtime broker는 악성코드나 바이러스가 아니고 기본적으로 필요한 프로세서이지만 가끔씩 CPU 점유율을 50%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 컴퓨터가 비정상적으로 느려지고 cpu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컴퓨터에 부하 및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당히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10에서 런타임 브로커 cpu 사용량이 엄청 증가할 경우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텐데요. 레지스트리를 변경해야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서 따라하시길 바랍니다.





윈도우10 runtime broker 프로세서 역할 및 정지시키는 방법


가장 먼저 runtime broker 점유율은 특정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간에 충돌이 일어나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를 모두 초기화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단에 검색 버튼을 눌러주세요.








검색창이 뜨면 msconfig 라고 검색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시스템 구성이 나오는데요. 이 시스템 구성 항목을 선택해서 열어주시길 바랍니다. 








시스템구성 창이 뜨면 상단에 서비스 탭을 선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내 컴퓨터에 있는 서비스 항목들이 나오는데요. 이 서비스들을 모두 사용 안함 버튼을 눌러 주신 후 적용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윈도우를 다시시작하신 후 아까 발생했던 runtime broker 점유율 증가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그 후에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된다면 아래 방법을 사용해 보세요.








윈도우10 하단에 검색창을 다시 누른 후 regedit 이라고 검색을 해주세요. 그러면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나오는데 해당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뜨면 하단에 있는 레지스트리 경로로 이동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TimeBrokerSvc


그 후 Start라는 항목이 있을텐데 해당 start 항목을 마우스로 더블클릭 해주시길 바랍니다.






레지스트리 값 편집 창이 뜨면 기본적으로 데이터 값이 3으로 설정되어 있을텐데요. 이 값을 4로 변경해 주시길 바랍니다. 4의 경우 runtime broker를 사용하지 않도록 변경한다는 설정이라고 하네요.








Start 항목의 값을 4로 변경을 한 후 정상적으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컴퓨터를 재부팅 하시면 runtime broker cpu 점유율 문제가 해결 된 것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신 경우에는 댓글로 문제 사항을 남겨주시면 답변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실수로 휴지통이나 USB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등에 있는 파일을 삭제하거나 겹쳐서 저장을 하게 되면 이전 파일들이 손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도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이렇게 파일이 손상되거나 삭제가 되어 문서파일들이 날라간 적이 몇번 있었는데요. 이러한 경우 지금까지 한 작업들이 전부다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에 난감한데요.


특히 회사에서는 정해진 데드라인에 맞춰서 업무를 끝마쳐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기 때문에 야근이나 철야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이렇게 파일을 삭제한 경우 복구를 시도해야 합니다.


오늘은 영구적으로 삭제한 파일들을 복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인 recover my files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recover my files는 외국에서 개발한 유료 프로그램으로 구매해서 사용을 해야 하는데요. 아래서 어떻게 recover my files를 설치한 후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삭제파일 복구 recover my files 이용해 복구하기


먼저 recover my files를 다운받기 위해서 구글에서 recover my files라고 입력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recover my files 복구 프로그램의 웹사이트가 나오니 이 사이트로 접속을 하시길 바랍니다.







recover my files 사이트가 뜨면 상단에 있는 download 버튼을 눌러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세요.







recover my files 다운로드 페이지가 뜨면 우측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설치파일을 받아주세요. 최신버전은 6.3.2.2552 버전이며, 32비트와 64비트 버전 중 하나를 받아주시길 바랍니다.







recover my files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언어선택창이 나옵니다. 언어를 선택해주세요.







recover my files 라이센스 동의창이 뜨면 잘 읽어보신 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recover my files 설치경로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하세요.







recover my files를 시작메뉴에 추가할 이름을 지정하고 다음으로 넘어가세요.







recover my files 설치하면서 바탕화면과 빠른실행에 바로가기를 생성할 지 결정해주세요.







recover my files 설치하기 전 설정한 내용이 확실한지 확인하고 설치 버튼을 눌러주세요.







recover my files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기다려주세요.








recover my files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창을 닫아주시길 바랍니다.








recover my files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파일을 복구할 지 드라이브를 복구할 지 물어보는데요. 일반적인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파일 복구를 선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삭제됬던 파일이 있었던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파일 복구 옵션에서는 전체 파일을 검색할건지 특정 파일유형을 선택해서 검색을 할 지 지정해주세요.







recover my files에서 잠시 기다리면 삭제되었던 파일들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왼쪽에서 복구할 폴더와 파일들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폴더 단위로 선택할 수 있고, 개별 파일로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 후 recover my files를 이용하여 파일을 복구하려면 상단에 파일 저장 버튼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파일 저장은 라이센스를 구매한 경우에만 가능한 점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recover my files를 이용한 파일 복구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마우스 폴링레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우스 폴링레이트(Polling rate)는 마우스의 반응응답률인데요. 쉽게 말하면 컴퓨터에서 마우스의 움직임을 어느정도 체크하는지 나타내주는거라고 보면 될 거 같습니다.


일반적인 마우스의 경우 125HZ, 250HZ, 500HZ, 1000HZ 중 하나를 사용하고 있으며, 값이 높을 수록 마우스의 반응률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일반 사무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마우스 폴링레이트가 중요하지 않지만 프로게이머나 정교한 작업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마우스 폴링레이트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폴링레이트의 경우 측정툴을 이용하여 쉽게 현재 내 마우스의 폴링레이트 값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측정 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Mouse Rate Checker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하단에 Mouse Rate Checker 프로그램 파일을 올려드렸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받아서 사용해보세요!






마우스 폴링레이트 정의 및 측정방법 알아보기


프로그램 명 : Mouse Rate Checker

버전 : 1.1b

언어 : 영어

개발사 : Oliver Tscherwitschke

파일크기 : 7.20kb

라이센스 : Freeware

지원 OS : Windows 95, Windows 98, Windows 2000, Windows XP, Windows Vista, Windows 7, Windows 8, Windows 10

다운로드 : 1. 제작사 홈페이지에서 받기

2. 직접 다운로드

mouserate.zip        



먼저 마우스 폴링레이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툴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요. 측정 프로그램인 Mouse Rate Checker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상단에 있는 제작사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다운받거나 블로그에서 직접 받으셔도 됩니다. 


저는 포털사이트에 등록된 버전으로 받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ouse Rate Checker를 검색하시면 프로그램이 나오는데 해당 프로그램 다운로드 페이지로 들어가주세요.





Mouse Rate Checker 프로그램 다운로드 페이지가 뜨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과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 위에 존재하는 무료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Mouse Rate Checker 설치파일을 받아주세요.









마우스 폴링레이트 측정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면 기본적으로 압축파일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요. 따로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무설치 버전이기 때문에 압축해제 프로그램으로 압축을 풀어주세요.









압축을 해제했다면 이제 Mouse Rate Checker 프로그램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마우스 폴링레이트 측정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이제 측정을 해봐야 하는데요. 중간에 있는 Move your Mouse 항목으로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신 후 마우스를 상하좌우로 이동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제 PC에는 현재 로지텍 g102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측정을 해보니 평균 125HZ 정도 나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마우스 마다 폴링레이트 값은 다를 수 있고 최대 1000HZ까지 나온다고 하네요.


지금까지 폴링레이트 정의 및 Mouse Rate Checker을 이용하여 폴링레이트 측정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로지텍 g102 드라이버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로지텍은 마우스, 키보드 및 헤드셋과 같은 컴퓨터 주변기기들을 많이 제작하고 생산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저도 데스크탑 컴퓨터에는 로지텍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만큼 여러 사용자에게 많이 알려진 브랜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로지텍 g102 제품의 경우 국민마우스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많이 알려진 제품인데요. 가격도 1~2만원대로 부담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을 정도 입니다.


이렇게 좋은 마우스의 경우 100% 모든 기능을 다 활용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를 설치해 줘야 하는데요. 로지텍 g102 드라이버를 어떻게 다운로드 받고 설치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로지텍 g102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법 안내


로지텍 g102 드라이버의 경우 로지텍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나 포털사이트에서 로지텍을 검색하신 후 나오는 로지텍 홈페이지로 접속해 주시길 바랍니다.






로지텍 메인 페이지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게 되는데요. 상단 메뉴 중 [고객지원 ->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눌러주세요.






고객지원 페이지가 나타나면 검색창에 g102 모델명을 입력해주세요. 그 후 우측에 있는 검색 버튼을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g102을 검색하면 g102 마우스 정보가 나타나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해당 g102 마우스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로지텍 G102 제품 소개 페이지가 나타나면 왼쪽에 다운로드 메뉴가 있으니 이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로지텍 g102 드라이버 다운로드 페이지가 나타나면 우측 하단에 파란색으로 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설치파일을 받아주세요.






로지텍 g102 드라이버 설치파일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소프트웨어 설치에 대한 창이 뜨게 되는데요. 다음을 눌러 설치를 계속 해 주시길 바랍니다.






로지텍 g102 드라이버가 설치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설치가 마무리 될 때까지 잠시만 기다려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로지텍 g102 드라이버가 설치되면 위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었고 사용할 준비가 되었다는 창이 뜨게 됩니다. 설치 완료 후 컴퓨터를 재부팅 할지 물어보는데요. 왠만하면 컴퓨터 재부팅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재부팅 후 로지텍 g102 마우스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로지텍 g102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 알아볼 정보는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을 이용하여 엑셀이나 오피스 문서의 비밀번호를 찾는 방법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오피스나 한글문서의 비밀번호를 찾아볼 수 있는데요.


단 몇가지 단점이 있는데요. 이 프로그램은 유료로 구매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트라이얼 버전을 사용하면 일정 기간동안은 무료로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무작위로 비밀번호를 대입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cpu나 그래픽카드의 자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버벅이고 느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설치 및 사용방법을 참고하셔서 사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프로그램으로 엑셀 암호 해제 해보기


먼저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구글에서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로 검색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공식 웹 사이트가 나오는데요. 해당 사이트로 접속해주세요.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사이트가 뜨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나오는데요. 마이크로오피스, 한글오피스, 오픈오피스의 암호를 해제해 볼 수 있다고 하네요.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우측에 트라이얼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주시길 바랍니다.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프로그램 설치창이 뜨면 Next 버튼을 눌러 다음단계로 넘어가주세요.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프로그램 설치 전 라이센스 동의창이 나타나면 해당 내용을 잘 읽어보신 후 동의 버튼을 눌러주세요. 참고로 해당 프로그램은 유료로 결제하고 사용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 체험판을 사용하시면 일정시간동안 무료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간에 라이센스키 입력창이 나타나면 라이센스를 입력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라이센스를 구입하지 않으신 분들은 그냥 다음 버튼을 누르면 정식 버전이 아닌 트라이얼 버전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프로그램 설치 경로를 지정하는 창이 나타나면 설치경로를 지정해 주시면 되는데요. 기본으로 제공하는 경로를 선택하셔도 되고 다른 디스크나 드라이브에 설치하셔도 됩니다.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프로그램 설치 준비가 다 되면 인스톨 버튼을 눌러주시면 되는데요. 설치시에는 관리자권한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리자권한 실행창이 뜨면 예를 눌러주세요.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설치완료까지 기다려주세요.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설치가 완료되었네요. 하단에 마침 버튼을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이제 오피스 암호를 찾아봐야 하는데요. 상단에 open file 메뉴를 선택하셔서 비밀번호를 찾고 싶은 엑셀이나 한글 파일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비밀번호를 찾을 파일을 선택했다면 이제 자동으로 비밀번호를 찾게 되는데요. 만약 설정된 비밀번호가 엄청나게 길거나 컴퓨터 사양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엄청나게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일단 해당 프로그램이 비밀번호를 찾을때 까지 계속 기다려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까지 advanced office password recovery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를 계속 사용하다 보면 자꾸만 윈도우 하드나 ssd의 용량이 부족해 지네요. 저도 노트북을 한 6년동안 사용하다 보니 점차 하드의 용량이 부족해 지는게 눈에 보일 정도네요.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 appdata 폴더 위치 및 삭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텐데요. appdata의 경우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을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폴더 경로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저는 이 appdata 경로에 용량이 한 30GB 이상 되서 한번 정리를 하니까 용량이 많이 확보되었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appdata의 위치를 확인하고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 appdata 위치 및 삭제 방법 알아보기


먼저 윈도우에 appdata 폴더로 들어간 후 파일들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화면으로 들어가야 하는데요. 윈도우 바탕화면에 컴퓨터라고 되어 있는 것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윈도우10에서 제공하는 내 pc 화면이 나타나면 상단에 보기 메뉴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보기 메뉴에서 숨김파일이나 폴더를 볼 수 있도록 숨긴 항목 설정을 체크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이제 appdata 폴더로 들어가 볼텐데요. 내 PC 창에서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 드라이브로 들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대부분 c 드라이브를 선택해 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c드라이브에 들어갔다면 사용자 또는 users 라고 되어 있는 폴더가 있을텐데요. 해당 폴더로 들어가세요.




사용자 폴더로 들어가면 내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목록들이 보이게 될 텐데요. 여기서 내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로 들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 명이 JHN으로 되어 있네요.




로그인 한 사용자 폴더로 들어가면 중간에 숨김파일도 AppData 폴더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ppData 폴더에 들어가면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각종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또한 appdata의 경우 상당히 용량을 많이 차지하고 있을텐데요. 이러한 경우 temp 폴더에 들어가서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모두 삭제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temp 폴더는 [appdata -> local -> temp] 폴더에 있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AppData -> LocalLow -> Temp] 폴더에도 임시파일들이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해당 폴더에도 임시적으로 생성된 파일과 폴더가 있으니 불 필요한 경우 삭제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appdata 안에 임시폴더와 파일들을 삭제한 후에 다시 확인해 보시면 c 드라이브의 용량이 줄어들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윈도우 appdata 위치 및 삭제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 모든분들께 알려드릴 정보는 바로 autodesk 123d design 프로그램 입니다. 123d design은 오토데스크 회사에서 만든 3d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비상업적 사용자들은 무료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입니다.

저도 이 프로그램을 몇번 사용을 해 보긴 했는데요. 아쉽게도 2017년 3월부터 공식적으로 해당 프로그램 지원이 종료가 되었더군요. 그렇지만 아직도 설치파일을 다운받아서 설치를 하면 사용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후속지원 및 업데이트가 불가하기 때문에  오토데스크에서는 Fusion360을 사용하는걸 권장하는데요. 하지만 아직도 123d design를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서 다운받고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릴텐데요.

궁금하시거나 사용해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방법을 따라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autodesk 123d design 다운 방법 확인해보기


먼저 autodesk 123d design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구글에서 123d design 다운이라고 검색해 주시길 바랍니다. 123d design을 다운받을 수 있는 페이지가 나타나는데 해당 사이트로 접속해주세요. 참고로 이 사이트는 오토데스크 공식 웹사이트는 아니며 그냥 해당 자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사이트 입니다.




autodesk 123d design 다운 받을 수 있는 페이지가 뜨면 우측에 초록색으로 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autodesk 123d design은 32비트와 64비트 설치파일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내 운영체제 버전에 맞는 버전으로 반드시 다운을 받아야 합니다. os에 맞지 않는 버전을 다운로드 하면 설치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utodesk 123d design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설치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하단에서 설치할 경로를 선택해 주시면 되며, 상단에는 라이센스 및 서비스 약관이 나타나기 때문에 읽어보고 설치 버튼을 눌러주세요.




autodesk 123d design 설치시 사용할 언어을 지정해 주는 창이 뜨면 언어를 선택해 주시면 되는데요. 아쉽지만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를 선택하신 후 install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autodesk 123d design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autodesk 123d design 설치시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redistributable Package도 설치되며, 설치 완료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답니다.




autodesk 123d design 설치가 완료되면 done 버튼을 눌러 설치를 마무리해 주시길 바랍니다.




autodesk 123d design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간단한 프로그램 사용법에 대해 나오게 되는데요.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해당 내용을 읽어보시는 것도 사용법을 아는데 도움이 될 거 같네요.




autodesk 123d design 프로그램이 켜진 후 나오는 메인창입니다. 이제 다양한 3d 모델링 작업을 진행해 보실 수 있는데요. 이제 마음껏 내가 원하는 3d 모델을 만들거나 수정해 보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autodesk 123d design 다운 및 3d 모델링 작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글에서는 그림판 모자이크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진이나 이미지를 사용하다가 사진 안에 중요한 정보가 있는 경우 모자이크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사진 안에 나오지 말아야 하는 얼굴이 있는 경우 모자이크를 해서 얼굴이 나오는것을 막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사진 안에 모자이크를 해야 하는 경우는 많은데요.


그런데 사진 모자이크를 하기 위해서 별도의 포토샵이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는 뭔가 불편하고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아주 쉽게 모자이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쉽게 모자이크 하는 방법은 그림판을 이용하면 됩니다. 그림판의 특정 부분을 선택해서 확대/축소하는 기능만 잘 이용하면 쉽게 그림판 모자이크를 할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그림판을 이용해서 모자이크 하는 방법을 지금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판 모자이크 방법으로 이미지나 사진 모자이크 쉽게 하기


먼저 그림판을 이용해서 사진 모자이크를 하기 위해서 그림판을 실행해야 합니다. 그림판을 실행하기 위해서 윈도우10 시작버튼을 눌러주세요.







윈도우10 시작메뉴가 나타나면 검색창이 보이는데 여기서 그림판 또는 mspaint라고 검색을 해주세요. 그러면 그림판 프로그램이 검색되는데 이 그림판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림판이 열리면 이제 모자이크 할 사진이나 이미지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상단에 있는 [파일->열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열기 창이 나타나면 모자이크 할 이미지를 선택해 주세요. 저는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를 열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자이크 할 사진을 열었다면 이제 모자이크 할 부분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상단에 보시면 홈 메뉴가 있는데 이 홈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 후 이미지 메뉴에 선택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 선택 항목을 눌러주세요.







선택 항목을 클릭한 후 모자이크 할 부분을 선택해 주세요. 저는 남자 어린이의 얼굴을 선택했습니다.







이제 선택할 부분을 모자이크 해야 하는데요. 모자이크를 하기 위해서 선택한 얼굴 부분을 작게 축소해 주시길 바랍니다. 어느정도 축소해야 하냐면 위 그림처럼 선택한 부분을 축소를 해주시면 될 거 같네요.







그 후 축소했던 부분을 다시 원래 크기로 늘려주세요. 그러면 선택한 부분을 작게 축소했다가 늘렸기 때문에 이미지가 깨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미지가 깨지는걸 이용해서 자동으로 모자이크가 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그림판 모자이크 기능을 통해 얼굴 부분을 보자이크 해 보았는데요. 왼쪽에 원래 멀쩡했던 얼굴이 오른쪽을 보시면 모자이크가 잘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선택해서 모자이크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그림판 모자이크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 이 글에서는 한글 문서 안에 워터마크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문서를 통해 문서작성을 하다 보면 다른 사람들에게 해당 문서를 넘겨줘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 해당 문서의 저작권이나 작성한 단체, 정보를 남기기 위해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워터마크를 삽입하게 되면 문서를 누가 작성하였는지 잘 알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요즘과 같이 저작권으로 문제가 생길 때를 대비하여 한글 파일 안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데요. 워터마크는 따로 만들어 놓은 이미지가 있으면 해당 이미지를 사용하셔도 되고, 이미지가 없다면 원하는 글자를 입력해서 워터마크를 직접 만들어 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글 워터마크를 어떻게 삽입하는지 알고 싶어 하는 분들을 위해서 지금부터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워터마크는 한글 인쇄 메뉴에서 넣을 수 있는데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시죠.





한글 워터마크 글자와 이미지를 이용해 넣어보기


먼저 한글 워터마크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합니다. 해당 글에서는 한글 워터마크 삽입 방법을 한글 2010 버전으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워터마크를 넣기 전 새로운 문서를 작성하거나 기존에 작성한 문서가 있다면 불러와 주세요.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한글 워터마크 글자 삽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단에 있는 메뉴 중 파일 메뉴를 선택하세요.








한글 파일 메뉴가 나타나면 중간에 있는 인쇄 메뉴를 눌러주세요. 한글 워터마크를 넣어야 하는데 왜 인쇄메뉴로 들어가냐고 물어보시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한글 문서는 인쇄메뉴에서 워터마크 글자를 넣을 수 있답니다.








한글 인쇄 메뉴가 나타나면 세번째에 워터마크 탭이 있는데요. 이 워터마크 탭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한글 워터마크 메뉴가 나타나면 글자 또는 그림으로 워터마크를 넣어볼 수 있는데요. 가장 먼저 글자로 워터마크를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자 입력칸에서는 워터마크로 남길 글자를 입력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워터마크의 크기와 각도, 글자색, 투명도를 지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내가 한글 글자 워터마크 설정한 내용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미리보기 메뉴를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미리보기 메뉴가 나타나면 이제 내가 적은 워터마크롤 확인할 수 있는데요. 워터마크가 내가 설정한 글자 그대로 잘 나타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워터마크는 그림으로도 넣을 수 있는데요. 그림 워터마크를 선택하고 워터마크로 사용할 그림을 선택해 주세요. 그 후 효과, 밝기, 대비, 투명도, 채우기 유형을 지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런 후 그림 워터마크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미리보기를 선택해 주세요.






이번엔 그림 워터마크를 넣어본 건데요. 선택한 이미지에 적혀있는 워터마크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출력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한글 워터마크는 글자 또는 그림으로 원하는걸 선택해서 자유롭게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한글 워터마크를 글자 및 이미지를 통해 넣어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