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자동으로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업데이트는 사용자의 컴퓨터의 보안 취약점을 차단시켜주기 때문에 당연히 해야 합니다.


하지만 윈도우에서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한 후 위와 같이 계속 재부팅을 하라는 창이 뜨면서 귀찮게 하는게 가끔 짜증나더군요. 특히 오래 걸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면 재부팅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저런 창이 싫더군요.


그래서 저 창을 안뜨게 할 수 있는지 알아봤는데 간단하게 메시지창을 안뜨게 할 수 있네요.

그 방법을 아래에서 알려드릴테니 저 창이 싫다면 바로 안뜨게 해보세요.



윈도우 업데이트 후 다시시작(재시작) 창 뜨지 않게 하기


먼저 시작->실행 또는 윈도우키+R 키를 눌러 실행창을 열어줍니다.


그 후 gpedit.msc 를 입력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을 띄어줍니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이 뜨면 왼쪽에 있는 메뉴 중

[로컬 컴퓨터 정책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요소 -> windows update] 를 

선택합니다.



Windows Update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창이 뜨면

[예약된 자동 업데이트 설치 시 로그온한 사용자로 자동 다시 시작 사용 안 함]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예약된 자동 업데이트 설치 시 로그온한 사용자로 자동 다시 시작 사용 안 함]에 대한 설정 창이 뜨게 됩니다. 이 설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노란색 박스를 참고하세요.


예약된 설치를 완료하는 데 자동 업데이트는 컴퓨터를 자동으로 다시 시작하도록 하지 않고 

로그온한 사용자가 다시 시작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지정합니다.


상태가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자동 업데이트에서는 

사용자가 컴퓨터에 로그인된 경우 예약된 설치를 진행하는 동안 자동으로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지 않습니다.

대신 자동 업데이트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도록 알립니다.


업데이트 내용을 적용하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상태가 [사용 안 함] 또는 [구성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자동 업데이트에서는 컴퓨터가 설치를 완료하기 위해 5분 내에 자동으로 다시 시작됨을 사용자에게 알립니다.


참고: 이 정책은 자동 업데이트가 예약 업데이트 설치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자동 업데이트 구성" 정책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이 정책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 설정에서 사용을 선택한 후 적용을 눌러주면 

앞으로 윈도우 업데이트 후 다시시작을 하라는 창이 뜨지 않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마트폰 사용하다보면 자신에게 필요한 어플들을 다운로드 받게 됩니다. 

그 중에 무료 어플들은 그냥 다운로드 받으면 되지만 유료어플들은 결제를 해야 합니다. 


근데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카드나 핸드폰 결제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핸드폰 결제는 소액결제를 차단했거나 한도가 다 차면 결제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카드결제를 선호하는데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구글에 카드 등록을 먼저 해야 합니다.

아래서 방법을 알려드릴테니 카드결제를 하려는 분들은 참고해 보세요.




구글 플레이스토어 결제할 카드 등록하기 


먼저 아래 구글 결제 홈페이지(google wallet)에 접속합니다.


구글 결제 페이지 바로가기



접속하면 로그인창이 뜨는데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하면 구글 지갑 홈페이지가 뜨게 됩니다. 여기서 결제할 카드를 등록을 해야합니다.

결제 수단 -> 신용/직불카드 추가를 클릭해주세요.



그럼 신용/직불(체크)카드 등록하는 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 카드번호, 유효기간, 보안코드(CVC)와 집 주소, 전화번호를 입력한 뒤 저장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런데 만약 카드번호를 입력했는데 신용카드 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 라고 뜨면서 등록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건 카드가 해외결제가 안되는 카드를 등록하려고 한 경우입니다. 


이럴경우 아멕스(amex), JCB, 비자(visa), 마스터카드(mastercard) 등 해외결제가 가능한 카드가 필요합니다. 만약 없다면 아래 홈페이지에서 카드를 신청한 뒤 등록해주세요.



[롯데카드 신청하기]



등록 완료한 후 화면입니다. 여기서 카드 등록 및 삭제, 수정등이 가능합니다.

화면을 보니 결제수단에 신용카드가 등록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플레이스토어에서 마음껏 유료어플을 구매하고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한번 카드 등록을 하면 충동구매를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자신의 용도에 맞게 적당히 결제해서 사용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리그오브레전드가 요즘 가장 핫한 게임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저를 비롯한 많은 분들이 재미있게 즐기고 있더군요.


근데 하다보면 가끔 예기치 못한 에러들이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저도 얼마전 게임을 하려고 롤 런처를 실행하니 아래와 같은 

RADS error가 뜨면서 게임이 실행되지 않네요.


Could not connect to the HTTP server. Please check that your Internet connection is enabled and that your firewall is not blocking access. 라는 알 수 없는 에러가 뜨니 정말 답답한데요.


위 에러메세지를 대충 해석해보면 HTTP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인터넷 연결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길 바라며 방화벽이 접근을 차단하는지 확인하라는 메시지가 뜨게 되네요.


뭔 소리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우리는 롤을 빨리 하기 위해 해결방법을 알아봐야겠죠.

아래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몇가지 알려드릴테니 저런 에러가 뜬다면 따라해보세요.



리그오브레전드(lol) Rads error 원인과 해결방법

[Step1]

먼저 저 에러가 뜨는 가장 큰 이유가 롤을 설치한 경로에 한글문자가 들어가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위와 같이 롤 설치 경로에 한글이 들어가면 안됨

이러한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설치폴더 이름을 한글로 바꾸어주세요.


이렇게 폴더 이름을 영어로 바꿔주면 대부분 해결이 가능합니다.



[Step2]


리그오브레전드를 실행하려면 최신버전의 Adobe air와 Microsoft .NET Framework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설치가 안되어 있거나 최신버전이 아니라면 아래 링크에서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 Adobe Air 다운로드

▶ Microsoft .NET Framework 다운로드



[Step3]


만약 위 2가지 방법을 사용했는데도 안된다면 컴퓨터 네트워크 DNS 주소를 바꿔야 합니다.


먼저 제어판에 들어간 뒤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를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가 뜨면 빨간색 박스로 된 자신의 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창이 뜨면 속성을 눌러주세요.

그 후 네트워크 연결 속성 창이 뜨면 Internet Protocol Version 4(TCP/IP v4)를 선택 후 속성을 누릅니다.



그 후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 속성 창이 뜨면


밑에 기본설정 DNS 서버 주소를 8.8.8.8로 설정해주세요.

보조 DNS 서버 주소는 8.8.4.4로 설정해주세요.


그 후 다시 리그오브레전드를 실행해서 되는지 확인해 주세요.

아마 대부분 이상없이 해결이 될 듯 싶네요.

만약 그래도 안된다면 게임 재설치를 해보는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리그오브레전드 게임 오류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Rads error로 고생하시는 분들은 얼른 위 방법으로 해결 한 뒤 즐거운 게임 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다 보면 만들어지고 삭제되는 폴더와 파일들이 많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나도 모르게 빈폴더들이 남아 있을 수가 있습니다.


그럴때 유용하게 빈폴더들을 삭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바로 Empty Folder Cleaner 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빈폴더를 검색하게 되며 검색완료 후에 삭제도 가능합니다.


빈폴더가 컴퓨터에 큰 영향을 끼치는거는 아니지만 그래도 있는거보다는 없는게 나을것 같네요.

그럼 이 프로그램 사용법 및 다운로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빈폴더 삭제 프로그램 - Empty Folder Cleaner V1.1


언어 : 다국어(한국어 포함)

제작사 : 4Dots Software

파일크기 : 19MB

지원 OS : Windows XP 이상 (32Bit, 64Bit)

공개여부 : 프리웨어
            ② 블로그에서 다운로드 [용량으로 인해 분할압축으로 제공]


먼저 위에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다운로드는 제작사 홈페이지와 본 블로그 둘 중에 하나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프로그램 설치와 라이센스 관련 내용이 나오게 됩니다.

다음과 동의를 눌러 넘어갑니다.



프로그램 설치 경로를 지정하는 창이 뜨는데 그냥 기본값으로 지정해주세요.


그 후 부가적인 프로그램인 Search Suggestor라는 프로그램을 같이 설치할건지 여부를 묻는데

불필요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체크 해제한 후 설치 하는걸 권장합니다.



프로그램을 설치중 VIDEOSAVER와 RegCleanPro 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건지 여부를 또 묻습니다.

필요 없기 때문에 Decline을 눌러 설치를 하지 않습니다.



설치완료되었다는 창이 뜨면 마침을 눌러 설치를 종료합니다.



프로그램 설치 후 실행하면 언어를 선택하는 칸이 있습니다. 여기서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프로그램 메인창이 떴습니다. 왼쪽에서 빈폴더를 검색할 폴더 경로를 지정해주세요.

그 후 스캔을 누르면 빈폴더 검색을 시작하게 됩니다.



검색완료 후 화면입니다. 빈 폴더 목록이 뜨는데 여기서 자신이 삭제를 원하는 폴더를 선택한 뒤 우측 상단에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폴더가 삭제됩니다.


지금까지 빈 폴더를 삭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Empty Folder Cleaner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간단한 UI와 한국어를 지원해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가능한게 큰 장점인거 같네요.

무료 프로그램이라 중간에 같이 설치되는 스폰서 프로그램이 여러개 있는게 그건 좀 주의해야 하겠네요.


아무튼 빈 폴더가 보기 싫거나 없었으면 하는 분들은 요 프로그램을 강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부팅이 점점 느려진다는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러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하다 보면 

일부 프로그램들은 자동으로 자신을 시작프로그램에 등록하기 때문입니다.  



시작프로그램이 뭐냐고요?? 시작프로그램은 컴퓨터 부팅시 등록된 프로그램들이 자동으로 실행되는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경우 자신이 필요한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실행되서 편리하게 사용가능하지만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면 시스템의 자원만 사용하여 컴퓨터가 느려지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컴퓨터의 시작프로그램을 관리 해줘 필요없는것들은 삭제해 주어야 합니다.

시작프로그램은 간단하게 관리를 할 수 있으면서 효과도 크기 때문에 아래 글을 보면서 해보시길 바랍니다.



msconfig(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로 시작프로그램 관리하기


먼저 시작->실행 또는 윈도우키+R키를 눌러 실행창을 띄웁니다. 

그 후 msconfig를 입력한 뒤 확인을 선택합니다.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창이 뜨면 시작프로그램을 눌러주세요.



시작프로그램 탭을 클릭하면 컴퓨터에 어떠한 프로그램이 시작할때 실행되는지 목록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 필요없는 시작프로그램들을 체크 해제하면 다음 부팅시부터 시작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단 여기서 중요한점은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사용안함으로 체크하면 절대 안됩니다.

만약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사용안하게 되면 특정 프로그램이나 기능들이 동작을 안할 수 도 있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프로그램들은 사용 안함으로 하지 말고 

먼저 검색으로 어떠한 프로그램인지 확인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중 하나입니다.



설정을 완료한 후 적용을 누르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할지 여부를 묻는 창이 뜨게 됩니다.

굳이 다시시작을 하지 않아도 되니 여기서는 마음대로 선택해도 됩니다.



지금까지 시작프로그램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간단한 방법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어서 컴퓨터를 빠르게 하는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네요.

만약 자신의 컴퓨터 부팅속도를 증가시키고 싶다면 위 방법을 사용해보까요!


반응형




반응형

요즘 티스토리에 가입하려고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는 다른 블로거에게 초대장을 받아야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초대를 받아서 가입을 해야해서 조금 귀찮은 티스토리인데 왜 사람들이 가입을 하고 싶어 할까요?

그건 티스토리만의 장점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1. 사진 및 동영상, 일반파일을 용량 제한없이 마음껏 올릴 수 

2. 스킨마법사로 스킨을 내가 원하는데로 수정가능~ 거기에 다양한 플러그인까지 지원

3. 내가 사용하고 싶은 블로그 주소를 사용 가능합니다. -> [원하는주소].tistory.com

4. 모바일에서도 다양한 스킨 및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편리한 점들이 많아 요즘 티스토리에 인기가 더욱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티스토리 초대장을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초간단 티스토리 초대장 받는법


먼저 티스토리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그 후 왼쪽 중간에 있는 티스토리 초대신청을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홈페이지 바로가기




그 다음 초대장을 나누어 준다는 블로그들이 많이 있습니다. 여기서 하나를 선택합니다.




초대장을 배포하는 블로그에 들어가면 블로거들 마다 다른 조건으로 초대장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왜 초대장이 필요한지를 묻는데 이러한 질문에 댓글로 답변을 달면 

블로그 운영자들이 자체적으로 선별한 뒤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분들에게 초대장을 드립니다.


초대장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을 올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블로그를 하고 싶은 이유가 분명해야 하며 

네이버나 다른 사이트에서 블로그를 했던 경험이 있다면 그런것을 어필하는것도 좋은 방법중에 하나입니다.


지금까지 티스토리 초대장을 얻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시간에도 많은 블로거들이 초대장을 배포하고 있으니 필요하신분들은 신청해서 꼭 초대를 받아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요즘 스마트폰 등 다양한 휴대기기에서 mp3등 음악파일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생을 하려다 보니 제목과 이름이 제대로 뜨지 않아 당황한 적이 있네요.


문제를 확인해 보니 mp3 파일에 태그가 정상적이지 않아서 일어난 문제더군요.

근데 많은 음악파일들을 일일이 수정하다 보니 굉장히 불편하고 짜증나네요.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손 쉽게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바로 mp3tag라는 프로그램인데 태그수정은 기본이고 앨범아트, 파일이름 변경이 가능합니다.


또한 여러 파일들을 일괄 수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파일도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 및 다운로드는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유용한 태그 편집 프로그램 - mp3tag 사용법 및 다운로드


먼저 태그편집을 위해 mp3tag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후 설치해주세요.

언어 : 한국어 외 31개 언어

제작사 : mp3tag.de

파일크기 : 2.51MB

지원 OS : Windows XP, Windows Vista, Windows 2003, Windows 2008

              Windows 7, Windows 8 (32bit, 64bit)

지원 확장자 : AAC, APE, APL, FLAC, MP3, MP4, M4A, M4B
                   MP+, MPC, OFR, OFS, OGG, SPX, TTA, WV

공개여부 : 프리웨어

            ② 블로그에서 다운로드


프로그램의 설치한 뒤 실행한 화면입니다. 

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를 지원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 -> 디렉토리 추가를 클릭해 mp3 등 음원파일이 있는 폴더를 지정합니다.



폴더에 있는 음악파일들이 목록에 뜨게 됩니다.

목록에서 태그를 수정할 음원을 선택하면 왼쪽에 현재 파일 태그정보가 뜨게 됩니다.


제목, 아티스트, 앨범 제작년도, 트랙, 장르 등 여러가지 정보가 표시되는데 

여기서 자기가 수정하고 싶은 내용을 입력하면 됩니다.


또한 앨범아트도 추가 및 제거, 추출도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데로 사용하면 됩니다.



만약 여러개의 파일의 태그를 한번에 수정하고 싶다면 위 그림처럼 여러개의 파일을 선택합니다.

그 후 왼쪽의 태그편집창에서 태그를 입력하면 일괄 수정이 완료됩니다.



태그를 수정한 뒤 파일 -> 태그저장을 꼭 해야 수정한 내용이 반영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금까지의 태그변경 내용이 저장되지 않아서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mp3 등 여러가지 확장자를 가진 음원의 태그 수정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간단한 프로그램 하나로 태그 일괄수정이 가능하며 손쉽게 앨범사진을 넣을 수 있는게 큰 장점이네요.


만약 mp3 태그를 수정해야 한다면 꼭 mp3tag를 사용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모안드로이드의 장점 중에 하나는 핸드폰에서 플래시 플레이어를 설치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어도비에서 플래시에 대한 업데이트 및 지원을 하지 않아서

더 이상 마켓에서 플래시 플레이어를 다운로드를 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는법! 바로 직접 Flash Player APK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apk 파일은 어도비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어 손쉽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아래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 및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해보세요.



안드로이드 플래시 플레이어 (Adobe Flash Player)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먼저 위 어도비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어도비 홈페이지 바로가기



홈페이지 접속 후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 하다보면 

안드로이드 4.0 이상에서 사용가능한 플래쉬 플레이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버전은 아이스크림샌드위치 및 젤리빈 OS에서 사용가능합니다.

만약 위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안되는 분들은 아래 플래시 플레이어 최신버전을 첨부했으니 사용해보세요.


[Adobe Flash Player 11.1 for Android 4.0 (11.1.115.81)]

install_flash_player_ics.apk




만약 안드로이드 프로요(2.2), 진저브레이드(2.3) 및 태블릿 버전인 허니컴(3.X)을 사용중이라면

구버전용 플래쉬 플레이어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세요.


[Adobe Flash Player 11.1 for Android 2.x and 3.x (11.1.111.73)]

install_flash_player_pre_ics.apk




 

플래시 플레이어 설치방법은 간단합니다. 위에서 다운로드 받은 플래시 플레이어를 핸드폰 SD카드로 옮겨주세요.

그 후 실행 한 뒤 설치를 실행합니다.


만약 설치를 하려는데 보안상의 설정으로 설치가 안되는 경우에는 아래 방법대로 설정 후 설치하세요.

[설정 -> 보안 -> 기기관리 -> 알 수 없는 소스에 체크 설정]



그럼 설치완료 창이 뜨게 됩니다. 설치가 완료된 후에 인터넷 어플로 플래시가 있는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면 플래시 플레이어가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플래쉬가 실행됩니다.


지금까지 플래시 플레이어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플래시가 필요하신분들은 얼른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웹하드나 P2P 사이트에서 필요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중요한 자료들을 외장하드로 옮겨 백업, 복구할 때 등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 있습니다.


이럴 때 이러한 작업들이 끝날때까지 기다리는게 정말 지루하고 힘들죠.

그래서 이러한 작업이 끝나면 컴퓨터가 자동종료 되도록 컴퓨터 예약종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7에서는 간단한 명령어로 예약종료를 할 수 있는데 그 명령어는 아래를 참고해보세요.



윈도우 예약종료 명령어로 컴퓨터 종료하기! 


먼저 키보드에서 윈도우키+R 이나 시작->실행을 눌러 실행창을 열어줍니다.



여기서 Shutdown -s -t 3600(원하는숫자)를 입력합니다.


-t 다음에 들어가는 숫자는 컴퓨터를 몇 초 후에 종료할 것인지 설정하는 숫자이며

1분은 60초, 10분은 600초, 1시간은 3600초 입니다.



그럼 컴퓨터가 60분 후에 자동으로 종료된다는 알림창이 뜨게 됩니다.

그 아래에는 언제 종료가 되는지 자세한 시간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약 예약종료를 취소하고 싶다면 실행창을 연 뒤 Shutdown -a를 입력합니다.



명령어를 입력 하면 예약된 시스템 종료가 취소되었습니다 라고 뜨게 됩니다.


지금까지 예약종료 명령어로 윈도우를 자동종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만약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기다릴 시간이 없다면 이 방법을 사용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요즘 토렌트를 이용하여 각종 자료들이 많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시드유지도 잘 되고 배포하는 사람들도 많은 토렌트 파일을 받았는데도 속도가 느릴때가 있습니다.

정말 그럴때는 답답해서 미칠것 같을때가 많더군요.


근데 이런 문제를 유토렌트(utorrent) 설정을 변경만 해주면 쉽게 속도 향상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그 방법에 대해 잘 정리를 해 두었으니 설정 후 빠른 토렌트 속도를 느껴 보시길 바랍니다.



효과 큰 토렌트 속도 향상 방법


유토렌트(utorrent) 프로그램을 실행한 뒤 설정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정창이 뜨면 연결탭을 클릭한 뒤 포트설정에 사용할 포트를 45682로 설정합니다.

그 후 프록시 서버 종류를 없음으로 설정합니다.



대역폭 탭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해줍니다.

최대 업로드 속도                     -> 700

uTP 연결에 제한을 적용           -> 체크

전체 최대 연결 수                   -> 2329

토렌트당 최대 연결 피어 수       -> 1890

개별 토렌트당 업로드 연결수     -> 14



비트토렌트 탭으로 가서 프로토콜 암호화에 나가는 연결을 강제로 변경합니다.



대기열 탭에서는 최대 활성 토렌트 수와 최대 활성 다운로드 수를 위와 같이 설정합니다.



고급 설정에서는 아래처럼 설정을 바꿔줍니다.

bt.allow_same ip       -> ture

dht.rate                   -> 2

rss.update_interval    -> 20


위 방법대로 설정한 뒤 토렌트를 다시 받아보면 대부분 속도 증가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만약 이대로 설정한 뒤에도 속도가 안 나온다면 토렌트 자체에 시더가 적거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이 설정을 해도 효과가 없으니 다른 토렌트 파일을 찾아보는게 빠를것 같네요.


아무튼 이 방법을 통해 빠르게 토렌트 다운로드를 해보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