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파이썬 통합개발환경인 파이참(PyCharm)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참은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프로그램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모든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개발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저도 파이썬으로 간단한 개발을 해야 할 때가 있어서 PyCharm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개발을 진행했었는데요. 기본적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개발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할 수 있어서 상당히 편리하고 좋았습니다.


그래서 PyCharm 프로그램을 어떻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는 시간을 가질까 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PyCharm 공식 사이트에 접속해 보시면 각종 정보 및 프로그램 설치도 가능한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설치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 IDE 파이참(pycharm) 설치 방법 알아보기


먼저 파이썬 통합개발환경인 파이참(pycharm)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파이참 홈페이지로 접속해야 하는데요. 구글에서 pycharm으로 검색하신 후 파이참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해 주시길 바랍니다. 해당 사이트는 아래 링크로도 접속 가능합니다.


https://www.jetbrains.com/pycharm/




파이참 홈페이지가 뜨면 중간에 있는 Download Now 버튼을 눌러서 설치 페이지로 접속해주세요.





파이참 설치 페이지가 뜨면 두가지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걸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professional 버전과 Community 버전 두가지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professional 버전은 유료로 구매해서 사용해야 하며, Community 버전은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우리는 무료버전을 다운로드 받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yCharm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설치 창이 나오게 되는데요.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PyCharm 프로그램을 어느 위치에 설치할지 경로를 정한 후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PyCharm 설치 옵션 창이 뜨면 바탕화면에 32비트, 64비트 런처 중 어떤걸 바로가기 아이콘으로 만들지 선택해주세요. 또한 파이썬 확장자인 py를 해당 프로그램에 연결할 지 여부도 정해주세요. 또한 컴퓨터에 JRE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하단에 Download and install JRE를 클릭해서 같이 설치해 주세요.





PyCharm을 시작메뉴에 생성할 지 여부를 정하고 설치 버튼을 눌러주세요.





PyCharm 설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설치 완료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으므로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PyCharm 프로그램 설치가 완료되면 finish 버튼을 눌러 설치를 마무리해주세요.





PyCharm 프로그램을 처음 실행시키면 여러가지 설정하는 설정창이 나오는데요. 내가 원하는 설정을 지정해주세요. 그 후 위와 같이 Pycharm 프로그램 창이 나오는데 기존에 있던 프로젝트를 불러오거나 새 파일을 만들어서 파이썬 작업을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파이썬 IDE인 파이참(Pycharm)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 메인보드에는 모두 다 바이오스(BIOS)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오스(BIOS)는 Basic Input/Output System의 약자로 부팅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기본 입출력 장치라고 생각하면 될 거 같습니다.


컴퓨터 메인보드 바이오스는 대부분 버그나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은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것을 권장합니다. 왜냐하면 잘못된 바이오스 업데이트 파일을 가지고 업데이트를 진행했을 때는 컴퓨터 메인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이죠.


하지만 메인보드의 버그나 오류등을 해결한 바이오스 버전이 나왔을 경우에는 업데이트를 진행해 주는것이 좋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그렇게 어렵지는 않지만 초보자 분들이 하기에는 위험부담이 꽤 크기 때문에 아래 방법을 자세히 잘 따라서 해주시길 바라며, 잘못된 업데이트를 할 경우 컴퓨터 부팅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꼭 인지하고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완벽정리


먼저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위해서 기가바이트 홈페이지로 접속해야 하는데요. 구글에서 gigabyte 검색 후 나오는 공식 웹 사이트로 접속해주세요.





기가바이트 홈페이지가 나오면 상단 메뉴 중 지원 메뉴를 클릭해서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지원 페이지가 나오면 여기서 내가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고 싶은 모델을 검색해야 하는데요. 내가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 모델을 정확히 입력해주세요. 만약 내가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가 아닌 다른 메인보드를 선택하면 나중에 업데이트시 문제가 발생할 수 도 있습니다.





메인보드 검색결과가 나타나면 우측에 Bios 항목이 나타나며 해당 항목에서 바이오스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 다운로드 페이지가 뜨면 바이오스를 다운받아주세요. 단 bios 중 beta라고 되어 있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파일은 불안정 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다운받지 않는것이 좋으며, 업데이트 파일은 아시아, 중국, 아메리카 등 여러 국가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데요. 가장 빠른 아시아 서버에서 다운 받는것을 추천합니다.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업데이트 파일을 실행시키면 설치에 필요한 파일들을 압축 해제 하게 됩니다.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업데이트 파일이 나왔다면 해당 파일을 USB에 담아주세요.





그 후 컴퓨터 재부팅 한 후 DEL 키를 눌러서 Bios 화면으로 들어가주세요. Bios 화면이 뜨면 메인보드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Q-Flash라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메뉴가 있을텐데요. 해당 메뉴로 들어가주세요.






Q-Flash Utility 창이 뜨면 update BIOS from Drive 메뉴를 선택해주세요. 그러면 잠시 후 자동으로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진행 완료 후에 컴퓨터를 재부팅 하면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완료됩니다.


지금까지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은 아래아한글 보다는 글로벌 추세에 맞춰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등 오피스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오피스 프로그램 중 대표적인 것은 바로 MS Office 인데요. 버전도 2007, 2010, 2013, 2016, 2019 등 다양한 버전이 출시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오피스 프로그램으로 워드파일을 작성하고 다른 PC에서 열어보려고 하면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컴퓨터에 오피스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럴때는 오피스를 설치해야 하지만 내 PC가 아닌 경우 설치하기가 조금 꺼려지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럴때는 오피스 뷰어를 설치하는게 상당히 도움이 되는데요. doc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ms 워드뷰어를 설치하면 됩니다. 이 워드뷰어는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DOC 뷰어 프로그램 - ms 워드뷰어


언어 : 다국어

개발사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버전 : V 1.0

파일크기 : 24.5MB

라이센스 : 프리웨어

지원 OS : Windows 2000 Service Pack 4, Windows Server 2003 Service Pack 1, 
            Windows Vista, Windows XP Service Pack 2, Windows 7, Windows 8, Windows 10

다운로드 : 



먼저 위에 첨부해 드린 MS 워드뷰어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첨부해 드린 워드뷰어는 분할압축이 되어 있기 때문에 3개로 나누어진 파일을 다 다운로드 받은 후 반디집으로 압축해제 해주세요.





압축을 해제했다면 워드뷰어 설치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열어주세요.



 

워드뷰어 설치파일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Microsoft 소프트웨어 사용권 조항이 나오게 됩니다. 위 항목에 동의를 한 뒤 계속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시 한번 사용권계약창이 뜨면 동의를 하고 다음단계를 진행하세요.





설치 위치를 지정하는 창이 뜨면 설치할 하드디스크를 선택한 후 경로를 지정하세요. 그 후 설치버튼을 눌러주세요.




워드뷰어 설치작업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곧 완료되니 기다려주세용~





설치가 완료되면 확인버튼을 눌러 ms 워드뷰어 설치를 마무리 해주세요.




설치 완료 후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최신 업데이트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기다려 주세요.




그 다음 워드뷰어를 실행시켜면 워드파일을 선택해서 열어보실 수 있는데요. 컴퓨터 안에 있는 doc 또는 docx 문서를 선택해서 열어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워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뷰어이기 때문에 편집은 불가능합니다. 인쇄나 내용 복사도 가능하기 때문에 워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https://kbench.com/software/?q=node/37910


만약 새 버전의 word로 만들어졌다는 오류창이 뜨면 위에서 오피스 호환 기능팩 설치 후 다시 한번 시도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pdf 파일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 pdf 파일을 하나로 병합(합치기)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할때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대학교 강의자료나, 회사의 메뉴얼 파일이 대표적인데요. 이러한 파일들은 여러 파일로 분할 되어 있어 일일히 각각의 파일들을 열어서 확인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 pdf 병합을 자주 하게 됩니다. pdf 합치기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되지만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그래서 저는 pdf 병합을 해주는 사이트를 주로 이용하는데요. 그 중 대표적이 사이트가 pdf joiner 사이트인데요. 이 사이트에서 어떻에 pdf 파일을 병합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df 병합 및 합치기 방법 알아보자 - pdf joiner 사이트


오늘은 위에 있는 두 PDF 파일을 병합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파일을 1이라는 숫자가 써 있는 파일이며 두번째 파일은 2라는 숫자가 적혀있습니다. 요 두 파일을 하나로 합쳐보도록 하겠습니다.




pdf 파일을 병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되지만 그렇게 하면 번거롭기 때문에 간단하게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pdf 파일을 병합해보겠습니다. 구글에서 pdf joiner 이라고 검색해주세요. 그러면 pdf 병합을 할 수 있는 사이트가 하나 나오게 되는데요. 이 사이트로 들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pdf joiner 사이트가 뜨면 바로 메인 화면에서 pdf 파일을 첨부할 수 있습니다. upload files 버튼을 눌러 pdf 파일을 첨부해 주시길 바랍니다.





PDF 파일을 업로드 하면 자동으로 컨버팅 작업이 진행됩니다. 조금만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첫번째 파일과 두번째 pdf 파일을 업로드 하였다면 하단에 join files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자동으로 두 파일이 pdf 병합 되는데요. 병합이 완료되면 PDF 합치기가 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pdf 병합 된 파일을 다운받으면 위와 같이 pdfjoiner라는 파일이 다운되는데요. 이 파일을 열어서 정상적으로 PDF 병합이 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pdf 병합된 결과 화면입니다. 아까 1이라는 숫자가 가득찼던 첫번째 파일과 2라는 숫자가 적혀있던 두번째 pdf 파일이 서로 병합되어 한 파일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3개 이상의 pdf 파일을 병합 했더라도 한 파일에 정상적으로 pdf 합치기가 된 걸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 셀을 하나로 합쳐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셀 합치기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로는 여러 셀에 동일한 값을 넣을 때가 있는데요.


여러 셀에 동일한 값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냥 셀을 합치고 합친 셀에 하나의 값만 넣으면 더 편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셀 합치기는 상단의 리본메뉴 또는 셀 서식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는데요. 처음 하는 분들은 어떻게 해야될지 잘 몰라서 헤매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셀 합치기를 해야되는지 하단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 셀 합치기 어렵지 않게 사용하는 방법!


먼저 엑셀 셀 합치기를 하기 위해서 엑셀을 실행시켜주세요.





엑셀을 실행시킨 후 셀 합치기 할 엑셀파일을 불러와 주세요.





그 후 셀 합치기를 할 부분을 선택해 주세요.




셀 합치기 할 부분을 선택했다면 마우스 우클릭을 해주세요. 그럼 여러가지 부가메뉴가 뜨게 되는데 여기서 셀 서식을 선택해주세요.




셀 서식 창이 뜨면 상단에 여러가지 탭이 나타나게 됩니다. 처음에는 표시형식이라는 탭이 뜨는데 셀 합치기를 하기 위해서는 맞춤 탭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맞춤 탭이 뜨면 중간에 있는 [텍스트 조정 -> 셀 병합]을 선택하세요. 그 후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만약 선택한 부분에 여러가지 데이터가 들어가 있다면 가장 처음 행에 있는 데이터만 빼고 나머지는 없어진다는 문구가 뜨게 됩니다. 해당 내용에 동의한다면 확인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정상적으로 셀 합치기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더 쉽게 하는 방법은??]


위 방법은 셀 서식에서 셀 병합을 해야하기 때문에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엑셀 상단의 리본메뉴에서 셀 합치기 메뉴를 활용하면 손 쉽게 셀을 병합할 수 있습니다.


상단 리본메뉴에서 홈 탭을 선택하세요. 그 후 맞춤메뉴에서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바로 셀 합치기가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은 취업을 위해서나 여러가지 이유로 고등학교 성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때는 교육청이나 학교에 방문해서 성적증명서를 발급받아도 되지만 번거롭기 때문에 요즘은 인터넷을 통해 쉽고 빠르게 성적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성적증명서 인터넷 발급은 나이스 홈페이지에 들어간 후 홈에듀 민원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바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발급비용도 무료이기 때문에 돈과 시간 모두를 아낄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한데요.


어떻게 발급받는지 궁금하신가요? 그러신 분들은 아래에 자세히 성적증명서 발급에 대해 적어 놓았으니 참고해 보시길 바래요.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발급 방법 알아보기


먼저 고등학교 성적조회를 하기 위해서는 나이스 홈페이지에 들어가야 합니다. 나이스는 교육청에서 지원하는 교육행정정보 시스템으로 다양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나이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교직원 온라인 채용, 검정고시, 학부모서비스, 학생 서비스 등 다양한 메뉴가 나오게 되는데 성적증명서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상단에 [홈에듀 민원서비스]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발급

시도 교육청 선택 화면이 뜨면 내가 다녔던 고등학교가 있는 지역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내 고등학교가 강남구 삼성동에 있었다면 서울특별시 교육청을 선택하면 됩니다.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인터넷 발급

홈에듀 민원서비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졸업증명서, 학교생활기록부, 재직증명서, 경력증명서, 합격증명서 등 다양한 서류를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고등학교 성적조회를 하기 위해서는 하단에 있는 [발급목록전체] 메뉴를 선택해 주시길 바래요.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조회

온라인 발급 민원 창이 뜨면 상단에 있는 성적증명서(중, 고)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발급

나이스 대국민서비스인 홈에듀 민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통합 보안 설치 프로그램인 Veraport를 비롯해 EPKIWCtl, Report Designer, Ahnlab Online Security 등 여러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시길 바랍니다.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보안 프로그램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홈에듀민원서비스에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로그인은 회원가입이 필요없으며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공인인증서를 PC에 설치해 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본 사이트가 잘 작동하지 않는다면 정부민원포털인 민원24에서도 성적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공인인증서 로그인 창이 뜨면 내 컴퓨터에 있는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해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발급을 위해서 발급을 원하는 학교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중간에 학교명 찾기를 선택하여 내가 다닌 학교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정상적으로 성적증명서가 발급되었다면 발급내역조회에서 내가 발급한 성적증명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우측에 저장 버튼을 눌러서 성적증명서를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다운로드 받은 성적증명서를 열어보시면 학교 다녔을 때 이수했던 교과목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원점수, 표준편차, 석차등급 등 다양한 성적관련 내용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고등학교 성적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젊은층을 중심으로 타블렛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타블렛이란 컴퓨터에 연결한 후 팬을 이용하여 납작한 판에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기입니다.


이러한 타블렛을 이용하면 내가 원하는 이미지를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화가나 디자인 쪽에 근무하는 분들에게는 꼭 가지고 있어야 할 필수품 중 하나입니다.


요즘은 SNS에서도 사람들이 내 게시물에 주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독특한 이미지를 많이 제작해야 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일반인들도 많이 타블렛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타블렛을 처음 구매를 한 후 컴퓨터에 연결하면 대부분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기능 때문에 자동으로 드라이버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최신형의 타블렛이나 부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게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 입니다.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는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별도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설치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 설치 방법 알아보기


먼저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한국와콤 홈페이지에 방문해야 합니다. 검색사이트에 한국와콤을 검색하면 위와 같이 사이트가 나오게 됩니다.




한국와콤(Wacom) 웹사이트에 접속했다면 상단에 지원(SUPPORT) 메뉴를 선택하세요.




와콤 홈페이지 지원 페이지가 나타나면 하단에 [드라이버 지원] 메뉴가 존재합니다. 이 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기 전 어떠한 카테고리의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 지 선택해야 하는데요. 저는 펜 타블렛의 드라이버를 다운받기 위해서 해당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후 제품 선택창이 뜨는데요. 저는 와콤 인튜어스 프로를 선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모델에 맞게 선택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중간에 현재 드라이버 더 알아보기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와콤 인튜어스 프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가 있는데요. 윈도우 용과 Mac OS 용으로 나누어져 있으니 현재 사용중인 OS에 맞게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그 후 다운로드 받은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설치과정이 나타납니다. 가장 먼저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 설치를 위한 라이선스 계약에 동의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가 내 컴퓨터에 설치되기 시작합니다.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는 컴퓨터 사양에 따라 몇분정도 기다려야 합니다. SSD를 사용하는 PC는 조금 설치 시간이 단축될 수도 있습니다.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되면 원할한 작동을 위해서 컴퓨터를 재부팅 해야 하는데요. 컴퓨터를 재부팅 한 후에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 마무리 됩니다.


이제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를 다 설치했다면 해당 타블렛으로 다양한 그림이나 이미지를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와콤 타블렛 드라이버 설치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력서나 여러 홈페이지에 이미지를 업로드 하려고 하면 JPG 등 특정 확장자를 가진 사진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PNG, BMP 등 확장자를 jpg로 변경해야 합니다.


확장자 변경은 포토스케이프나 알씨, 꿀뷰 등 여러 이미지 뷰어에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지 확장자 변경을 위해 이러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기는 약간 번거로운 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방법을 찾아보니 윈도우 기본프로그램인 그림판을 이용하면 이미지 확장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림판을 이용하면 BMP, PNG, JPG, GIF, DIB, TIFF 등 다양한 확장자로 변환이 가능한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변경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ng jpg 변환 30초만에 변환해 보아요


png 파일형식을 jpg로 변경하려면 윈도우에 탑재된 그림판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먼저 그림판을 실행시키기 위해 시작버튼을 눌러주세요.




시작버튼을 선택했다면 검색창에 mspaint를 입력하세요. 그럼 위에 목록에 그림판 프로그램이 뜨게 됩니다. 그림판을 실행시켜주세요.




그림판이 뜨면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를 변경하기 위해서 상단 메뉴 중 파일 메뉴를 선택하세요.




파일 메뉴를 선택했다면 변환할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서 열기 메뉴를 선택하세요.





파일 선택창이 뜨면 jpg로 변환할 PNG 사진을 선택해 주세요. 그림판에서는 아쉽게도 여러개의 파일을 한번에 변환은 안되고 한번에 한개의 이미지 파일만 선택해서 변환이 가능합니다.





사진이 열렸다면 png 이미지를 jpg로 변환해야 하는데요. 상단에 파일 메뉴를 다시 한번 눌러주세요.





그림판 메뉴가 뜨면 다른 이름으로 저장 => JPEG 그림을 선택합니다. JPEG 그림이 jpg 확장자로 변환한다는 의미로 생각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는 창이 뜨면 사진을 저장할 폴더를 선택합니다. 그 후 파일 형식이 jpg 형식으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저장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파일 저장 후 사진 저장한 폴더에 들어가면 png 이미지 파일이 jpg로 변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png jpg 변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온라인 게임을 좋아하는 분들은 대부분 외장 그래픽카드를 장착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무용 컴퓨터나 저사양의 컴퓨터에는 내장그래픽을 사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외장그래픽나 내장그래픽 둘 다 그래픽 카드의 최적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해 사용해야 하는걸 알고 계시나요???


아마 이러한 점을 잘 모르는 분들은 드라이버를 거의 업데이트 하지 않게 되는데요. 컴퓨터 성능을 위해서라도 주기적으로 최신버전의 드라이버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만약 그래픽 드라이버를 최신상태로 사용하고 싶은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보세요.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방법 알아보기


먼저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 아래 인텔 다운로드 센터에 접속해주세요.


인텔 다운로드 센터 바로가기




위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그래픽 드라이버 카테고리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현재 사용중인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 설치파일을 다운받아야 하는데요. 현재 내 컴퓨터가 어떤 cpu를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그거에 맞는 그래픽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주세요.


만약 자신의 컴퓨터에서 사용중인 그래픽카드를 모른다면 아래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용중인 내장그래픽을 확인하세요.


[[Util] 유틸자료] - 그래픽카드 정보 및 사양을 쉽게 확인해보자! - GPU-Z






내 컴퓨터에 맞는 그래픽 드라이버를 선택했다면 왼편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업데이트를 준비해 주세요.





다운로드 받은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설치를 위해서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전 라이센스 계약서에 동의를 해야 합니다. 해당 라이센스 내용에 동의를 할 경우 예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컴퓨터 속도 및 상태에 따라서 설치 속도가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5분안에 설치가 마무리 됩니다.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가 마무리 된 후에는 컴퓨터를 재부팅 해야 하는데요.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바로 재부팅을 해주는게 좋으며, 현재 작업중인것들이 있다면 모두 저장하고 재부팅 해주세요.


지금까지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터넷에서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우리는 포털사이트를 많이 이용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는 포털사이트는 네이버인데 생각보다 내가 원하는 정보가 나오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마다 대부분 구글에서 다시한번 검색을 하게 되는데요. 구글은 네이버보다 정확하면서도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구글에서 검색을 하다보면 내가 어떠한 검색어를 입력해 검색을 했는지 정보가 다 나오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내 개인 프라이버시가 다른사람들에게 유출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끔씩은 구글에서 내 검색기록을 삭제해 주는것도 좋은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검색기록 삭제 과정 어렵지 않게 지워보기


먼저 구글 검색기록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먼저 해야 합니다. 구글 메인페이지에서 로그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창이 뜨면 내가 사용하고 있는 구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그 후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






다시 구글 첫 화면이 뜨면 하단에 설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설정버튼을 누르면 다시 여러메뉴가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기록 버튼을 눌러주세요.




기록버튼을 누르게 되면 현재 로그인한 내 계정의 웹 및 앱 활동에 대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왼편에 메뉴를 확인해보시면 구글 검색기록 삭제를 할 수 있는 [날짜별 활동 삭제] 메뉴가 있습니다.





그 후 검색 활동 삭제 항목이 뜨게 되는데 여기서 기록을 삭제할 날짜를 선택하세요. 지난 1시간, 지난 1일, 전체기간, 원하는 기간 설정 등 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모든날짜의 기록을 삭제하고 싶다면 전체기간을 클릭하세요.





기록 삭제 전 어떤 기록을 삭제할 지 물어보는데요. 검색, 뉴스, 도서, 동영상 검색, 이미지 검색 중 내가 삭제하고 싶은 기록을 선택한 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삭제가 완료된 화면입니다. 내 검색기록을 확인해보니 표시할 항목이 없다고 표시됩니다. 이런 방식을 통해서 내 계정의 구글 검색기록을 삭제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