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느날 갑자기 익스플로러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려고 하니 이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뜨면서 인터넷이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네요. 


그래서 Windows 네트워크 진단을 통해 무엇이 문제인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장치 또는 리소스(주 DNS 서버)와 통신할 수 없습니다 라는 문제가 발견되었다고 하네요. 위 문제는 dns 서버정보를 불러오지 못해 나타나는 현상인데요. 이럴때는 dns 정보를 다시 알맞게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만약 위와 같은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분들이 있다면 아래 방법을 따라해보세요.




장치 또는 리소스(주 DNS 서버)와 통신할 수 없습니다 해결방법


컴퓨터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세요.




컴퓨터 화면이 뜨면 우측에 네트워크를 선택하세요.




네트워크 창이 뜨면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클릭하세요.




중간에 있는 활성 네트워크 보기에서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를 선택하세요. 저 같은 경우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네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창이 뜨면 하단에 속성을 선택하세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속성 창이 뜨면 TCP/IPv4를 선택 후 속성을 누르세요.





속성창이 뜨면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를 선택하세요. 그 후 다시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상적으로 접속되는지 확인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그래도 안된다면 위 네트워크 속성창에서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을 선택해 DNS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합니다. 지금 사용중인 ISP 회사 정보를 입력한 후 다시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해야 하는데요.


현재 사용중인 ISP 회사 정보를 모른다면 위에 모록 중 마음에 드는 DNS 주소를 입력하신 후 다시 한번 인터넷 접속이 되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대부분 잘 되실거 같은데 안된다면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SSD가 장착된 컴퓨터라면 한번쯤 SSD 용량 때문에 고민해 본적이 있을겁니다. 저도 노트북에 SSD를 사용하는데 사용할 때 마다 용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외장하드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외장하드는 사용할 때 마다 컴퓨터에 연결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SSD에 설치된 불 필요한 프로그램을 지우고 했는데도 용량이 꽤 부족하네요.


그래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해결방법을 몇가지 찾아보니 HIBERFIL.SYS 파일을 삭제하면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네요. HIBERFIL.SYS 파일은 최대 절전모드 사용시 필요한 파일이라고 하네요. 만약 컴퓨터에서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러한 파일을 제거해 SSD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신가요? 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해보죠!




HIBERFIL.SYS 삭제하고 ssd 용량 확보 하기


먼저 SSD 용량확보 하기 전 SSD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128GB의 SSD를 사용하는 중이며 63GB가 남아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HIBERFIL.SYS 파일을 삭제하려면 cmd로 들어가야 합니다. 먼저 윈도우 왼쪽 하단에 있는 시작버튼을 눌러주세요.





그 후 시작메뉴 창이 뜨면 cmd라고 검색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검색결과로 명령프롬프트가 뜨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프롬프트를 그냥 실행시키지 말고 꼭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주시길 바랍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이 열리면 최대절전모드를 해제하는 명령어를 입력해야 합니다. 입력창에 powercfg -h off 명령어를 타이핑 해주세요. 그 후 엔터버튼을 누르면 명령어 실행이 완료됩니다. 





최대 절전모드를 해제한 뒤 다시 SSD의 용량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확인해 보니 기존의 63GB에서 71GB로 약 8GB의 여유 공간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컴퓨터마다 SSD 용량이 늘어나는건 다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HIBERFIL.SYS 파일 삭제하고 SSD 용량 확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핸드폰 번호나 사용금액 등 숫자를 입력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사무직종 중 회계일에 종사하는 분들은 항상 이러한 일을 하게 되고 다른 분야에 있는 분들도 엑셀에 많이 숫자를 입력하게 됩니다.




그런데 엑셀을 이용해 휴대폰번호나 연락처를 적을 때 앞에 숫자를 적으면 앞에 0이 생략되게 됩니다.




위 엑셀 파일은 제가 테스트를 해본 것으로 연락처 앞부분 0이 없어지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나중에 여러 사람들에게 연락을 하거나 할 경우 상당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문자를 수발신 할 때 누락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가 애초에 발생하지 않도록 숫자 앞에 0이 표시되도록 변경해야 합니다.


변경방법은 셀 서식에서 표시형식만 바꾸어주면 쉽게 변경 가능한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바꿀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0표시 어떻게 하는지 확인해봐요~


먼저 맨 앞에 0표시를 할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선택해주세요. 그 다음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삽입, 삭제, 내용지우기, 정렬, 필터 등 여러가지 메뉴가 뜨게 되는데 여기서 셀 서식 버튼을 눌러주세요.




셀 서식 창이 열리면 맨 처음 표시형식 탭이 뜨게 됩니다. 왼쪽을 보면 여러가지 표시형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숫자 맨 앞에 0을 표시하고 싶을 경우 텍스트를 선택해주세요.




선택했다면 확인버튼을 눌러 설정한 내용을 저장해주세요.




그 후 아까 연락처 부분에 다시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면 아까와 다르게 앞에 0이 표시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상단 메뉴 중 바로 표시형식을 변경할 수 있는 곳도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셀서식에 들어가지 않아도 바로 표시형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엑셀 0표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핸드폰 번호나 금액, 돈 등 숫자를 이용해야 하는데 0이라는 숫자가 맨 앞에 보여지지 않을 경우 위 방법을 통해 해결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터넷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프로그램이나 유틸리티 들을 설치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여러 프로그램들을 사용하다 보니 어느날 갑자기 익스플로러의 시작페이지가 ZUM으로 바뀌더군요.


저는 ZUM 포털사이트를 거의 이용하지 않았었는데 갑자기 ZUM 사이트로 접속되니 좀 당황스럽네요.


그래서 오늘은 저와 같이 익스플로러 시작페이지가 zum으로 나오는 분들을 위해서 시작페이지를 zum이 아닌 다른 사이트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익스플로러에 시작페이지 변경은 누구나 쉽고 빠르게 변경해 볼 수 있으니 저와 같이 인터넷 실행 시 zum이 뜨는 분들은 아래 방법을 이용해 변경을 진행해 보시길 바래요~




zum 없애기 방법 알아보기


먼저 시작페이지로 zum 페이지가 뜨지 않도록 없애는 방법을 진행하기 위해서 먼저 익스플로러를 실행시켜주세요. 그 후 오른쪽 상단에 있는 톱니바퀴 옵션 버튼을 눌러주세요.




옵션 설정 버튼이 나오면 하단에 있는 인터넷 옵션 메뉴를 선택하여 주세요!





인터넷 옵션 창이 뜨면 가장 먼저 일반 탭이 나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홈페이지 시작페이지를 변경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 저는 시작페이지가 zum으로 설정되어 있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시작페이지를 naver 또는 내가 원하는 사이트로 적어준 후 하단 우측에 있는 적용버튼을 눌러주세요.





그 후 익스플로러 창을 닫은 후 다시 한번 익스플로러를 실행해 볼 경우 정상적으로 내가 설정한 시작페이지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zum 없애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dwg 파일은 오토캐드에서 사용하는 파일 확장자로 2D/3D 도면 정보를 저장하고 확인하기 위한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미국에 있는 오토데스크에서 만든 확장자로 오토캐드에서 사용가능한 프로그램인데 요즘은 캐디안 등 다양한 캐드 프로그램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캐드 dwg 파일을 오토캐드 등 캐드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PC에서는 확인을 할 수 없어 상당히 불편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파일을 캐드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PC에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pdf 파일로 변환해야 합니다. pdf 파일로 변환하면 어느 컴퓨터에서든 확인을 바로 해볼 수 있습니다.


dwg pdf 변환은 별도의 프로그램 필요없이 웹상에서 바로 할 수 있는데요. 하단에서 어떻게 변환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wg pdf 변환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변경하기


먼저 dwg pdf 변환을 하기 위해서는 zamzar라는 사이트에 접속해야 합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dwg pdf 변환을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dwg pdf zamzar] 라고 검색하면 가장 최상단에 사이트가 나오게 됩니다. 아래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해도 됩니다.


https://www.zamzar.com/convert/dwg-to-pdf/





사이트에 접속했다면 드래그 또는 업로드 버튼을 통해 dwg 파일을 첨부할 수 있습니다. dwg 파일을 drag 하거나 Browser Now 버튼을 눌러주세요.





Browser Now 버튼을 누르면 dwg 파일 업로드 창이 뜨게 됩니다. 내가 pdf로 변환하고자 하는 dwg 파일을 선택한 뒤 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파일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면 변환할 파일 포멧을 선택해 주시길 바래요. bmp, gif, jpg, png 같은 이미지 파일로도 변환이 가능하며 pdf 문서파일로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그 후 dwg pdf 변환을 하기 위해서 Convert Now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dwg 파일이 PDF 파일 형식으로 변환되고 있습니다. Converting이라는 문구가 나오면서 변환이 진행되는데요. 변환작업이 끝날 때 까지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Download 버튼을 누르면 dwg pdf 변환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다면 기존 DWG 파일과 함께 PDF 파일이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이제 dwg pdf 변환이 필요한 경우 위 방법대로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변환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바로 윈도우10 블루투스 연결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윈도우10을 사용하다 보면 가끔 블루투스 기기들과 연결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도 얼마전 블루투스 마우스를 구매하여 노트북과 연결을 하려고 했는데요. 어떻게 블루투스를 연결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한참 연결 방법을 찾게 되었네요.


그래서 저와 같이 윈도우10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서 연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릴까 합니다.


아래 방법대로 따라하면 쉽게 연결해 볼 수 있는데요. 하기전에 내 PC 또는 노트북에서 블루투스를 지원하는지 먼저 확인 후 따라해보세요!




윈도우10 블루투스 연결 방법 알아보기


먼저 바탕화면 하단에 있는 윈도우 로고 아이콘을 마우스로 눌러주세요.





그러면 윈도우10의 시작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여기서 왼쪽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Windows 설정창이 뜨면 두번째에 있는 장치 메뉴를 선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장치 설정 화면이 나오게 되면 왼쪽에 Bluetooth 및 기타 디바이스 메뉴가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이 메뉴 선택 후 Bluetooth를 클릭하여 켜주시길 바랍니다.





블루투스를 켠 후 상단에 Bluetooth 또는 기타 디바이스 추가 메뉴를 선택해주세요.





디바이스 추가 창이 뜨면 상단에 Bluetooth를 선택해주세요.





잠시 기다리면 내 주변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들을 검색하게 되는데요. 블루투스 기기가 검색되면 해당 검색된 기기를 선택해주세요.




잠시 기다리면 블루투스 기기가 연결되면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변경이 됩니다.





저는 블루투스 마우스를 연결해 보았는데요.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면 위와 같이 연결되었다고 나오면서 해당 블루투스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지금까지 윈도우10 블루투스 연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 핫하다는 게임 중 하나인 오버워치 닉네임 변경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항상 오버워치를 PC방에서만 하다가 이번 이벤트로 오버워치 50% 할인 판매하는것을 구매 했어요ㅎㅎ 


집에서 하니 편하게 할 수 있어서 상당히 좋더군요. 여러분들도 FPS 게임을 좋아한다면 오버워치를 하는 것도 좋을거 같네요.


오버워치 닉네임 변경은 신중하게 하셔야 하는데요. 오버워치 닉네임 변경이 첫번째는 무료로 할 수 있지만 그 다음부터는 1만원을 결제하고 닉네임 변경권을 BattleTag 변경권을 구매해야 닉네임을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럼 주의사항까지 다 숙지하셨다면 지금부터 오버워치 닉네임 변경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 설명대로 차근차근 따라해 보시면 쉽게 오버워치 이름을 바꾸실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따라해보세요.




오버워치 닉네임 변경 방법은? 첫회 무료로 하기!!


먼저 오버워치 닉네임 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오버워치(Overwatch) 사이트로 들어가야 합니다. 구글에서 오버워치를 검색하고 나오는 공식 사이트로 접속해 주시길 바랍니다.





오버워치 홈페이지에 들어갔다면 상단에 있는 로그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블리자드 Battle.net 로그인 창이 뜨게 됩니다. 이메일이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시길 바랍니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도 가능하고 아이디가 없다면 무료 회원 가입도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했다면 우측 상단에 메뉴를 선택한 뒤 계정 관리 버튼을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블리자드 계정정보 창이 뜨면 중간에 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내가 사용중인 오버워치 닉네임인 BattleTag가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이 오버워치 닉네임을 변경하기 위해서 계정 상세 정보를 눌러주세요.





계정 상세 정보 메뉴에서 BattleTag 항목을 확인해 보실 수 있는데요. 여기서 현재 사용중인 닉네임을 확인할 수 있고, 오버워치 닉네임 변경을 위해서 상단에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주세요.





BattleTag 변경 창이 뜨는데 상단 안내말을 보면 처음 1회는 BattleTag를 무료로 변경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만약 나중에 닉네임을 또 바꾸고 싶을 경우에는 BattleTag 변경권을 구매해야 변경 가능하다고 합니다.


닉네임은 내가 원하는걸 지정할 수도 있고 무작위로 작명을 할 수도 있습니다. 닉네임 작성 후 하단에 BattleTag 변경 버튼을 누르면 정상적으로 오버워치 닉네임 변경이 완료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PDF 파일은 디지털 문서의 표준 확장자로써 대부분 기업이나 회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파일형식입니다. 이 파일형식은 대부분의 문서뷰어에서 확인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도 상당히 높습니다.


그런데 몇몇 PDF 파일들을 보면 문서 내용을 확인만 할 수 있고 복사나 수정, 인쇄가 되지 않도록 막아놓은것들이 있습니다. 이런 파일들은 문서에 보안설정이 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보안설정이 되어있는 파일들은 열어볼수만 있는데요. 이 파일들을 수정하려면 보안해제를 해야 합니다.


보안해제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해도 있지만 간편하게 해제를 해주는 사이트를 이용해도 됩니다. 만약 pdf 보안해제를 해야한다면 아래 사이트를 이용해보세요.




pdf 보안해제 사이트 - pdf unlock


먼저 구글에서 PDF Unlock 사이트를 검색해주세요. 검색어로 soda pdf unlock라고 검색을 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바로 사이트에 접속하길 원하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선택하세요.


pdf unlock 사이트 바로가기




PDF Unlock 사이트에 접속했다면 바로 pdf파일 보안해제 및 암호를 제거해준다는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내가 pdf 보안해제를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 파일 선택을 해주세요.


만약 Dropbox나 Google Drive에 파일이 있다면 해당 버튼을 선택하세요.





열기 창이 뜨면 보안해제를 할 파일을 선택하세요.





업로드 한 PDF 파일에 암호가 걸려있을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잠금 해제 버튼을 눌러주세요.





잠시 기다리시면 PDF 보안해제가 진행됩니다. 조금만 더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보안설정이 해제 완료되면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에서 보기 및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PDF 보안해제 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주시길 바랍니다.

.



unlock 된 파일을 실행시킨 후 파일 -> 속성 메뉴에 들어가게 되면 문서 속성창이 뜨게 됩니다. 그 후 문서 보안과 문서 제한 요약을 확인해보면 대부분 보안설정이 허용으로 변경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안설정이 해제되었다면 인쇄나 내용복사 등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바로 그래픽카드 온도측정 방법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게임이나 고사양이 필요한 그래픽 작업들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경우 컴퓨터 그래픽카드가 계속 일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그래픽카드에서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을 그래픽카드에 장착된 쿨러가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쿨러가 열심히 작동을 해도 지속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그래픽카드에서 열이 발생을 하는데요. 이럴 때 그래픽카드가 얼마나 온도가 올라가는지 쉽게 측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그래픽카드 온도측정의 경우에는 gpu-z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그래픽카드 온도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픽카드 온도측정 쉽고 빠르게 알아보자


먼저 그래픽카드 온도측정을 하기 위해서 gpu-z를 다운받아야 하는데요. 구글에서 gpu-z를 검색해서 나오는 공식 사이트로 접속해 주시길 바랍니다.





gpu-z 사이트가 나오면 왼쪽 상단에 있는 Download GPU-Z 버튼을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Gpu-Z의 경우 stardard 버전과 ASUS ROG Skinned 버전 2가지가 있는데 이 중에서 내가 원하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주시길 바랍니다.





GPU-Z를 다운로드 받고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GPU-Z를 설치해서 사용할 건지 묻는 창이 뜨게 됩니다. No 버튼을 누르면 GPU-Z를 무설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PU-Z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전반적인 그래픽카드 정보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상단에 있는 Sensors 탭을 누르면 자세한 그래픽카드 하드웨어 정보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Sensors 탭을 누르니 우리가 보고 싶어 했던 그래픽카드 온도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 확인해보니 그래픽 카드 온도가 47도 정도 되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래픽카드 온도가 90도 이상 될 경우 그래픽카드에 장착된 팬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반드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그래픽카드 온도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모니터 주사율 확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모니터 주사율은 화면 주사율이라고도 불리는데 1초에 화면을 몇번 출력해 주는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니터 주사율이 높을 수록 1초에 화면에 그리는 횟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화면에 잔상이 없고 자연스럽게 화면 출력이 되는데 모니터 주사율이 낮을 수록 화면이 뚝뚝 끊기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대부분의 모니터들이 자신의 최대 해상도에서 60hz 정도 표시하는게 일반적인데요. 요즘 나오는 게이밍 모니터 같이 고급 모니터의 경우에는 144hz 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주사율이 높으면 높을 수록 잔상도 없고 빠르게 화면이 출력되기 때문에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FPS 게임을 할 때에는 모니터 주사율이 높은 모니터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내가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의 주사율을 어떻게 확인해 볼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니터 주사율 확인 방법 알아보자!


먼저 모니터 주사율 확인을 위해서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 후 나오는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윈도우7 같은 경우에는 조금 메뉴가 다를 수 있지만 비슷한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디스플레이 항목이 나타나면 중간에 있는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그 후 디스플레이 어댑터 속성 표시 항목을 마우스로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의 속성창이 나타나면 상단 여러 메뉴탭 중 모니터 탭을 선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모니터 탭을 선택하면 하단에 화면 재생 빈도라는 항목이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 항목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의 주사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니터의 주사율은 모니터에서 지원하는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는데요. 내가 원하는 수치가 있다면 변경해 보시길 바라며, 변경이 안되는 경우 모니터가 변경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모니터 주사율의 경우 웹사이트에서도 추가로 확인이 가능한데요.


www.testufo.com


위 사이트에 접속해 보시면 내 모니터 주사율 확인이 가능한 점도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