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학생들이 레포트를 작성하거나 회사에서 발표자료를 만들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파워포인트 입니다. 파워포인트는 내가 의도하는 내용을 다른사람들에게 잘 표현할 수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레젠테이션 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워포인트에서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하이퍼링크 입니다. 하이퍼링크는 파워포인트 안에서 외부 URL 주소링크를 설정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다른 슬라이드쇼 페이지로 변경할 수 있는 링크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대부분 발표자료에서 하이퍼링크는 필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이퍼링크는 간단하게 설정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서 같이 자세하고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파워포인트 하이퍼링크 쉽게 설정해보기


PowerPoint 2016

먼저 파워포인트 하이퍼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파워포인트를 실행시켜야겠죠? 내 컴퓨터에 설치된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 열어주시길 바랍니다.





파워포인트 창이 열리면 새 프레젠테이션 문서를 열거나 기존에 있는 문서를 불러오기 해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새 파워포인트 문서를 열었다면 하이퍼링크를 연결할 글씨나 이미지를 입력하시길 바랍니다. 기존문서를 불러오기 한 분들은 하이퍼링크를 설정할 그림이나 글자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하이퍼링크를 설정할 글자나 이미지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팝업메뉴가 뜨면서 다양한 서브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하이퍼링크 메뉴를 선택하세요.





파워포인트 하이퍼링크

하이퍼링크 삽입 창이 뜨면 하단에 있는 주소창에 내가 연결하고 싶은 URL 주소를 입력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파워포인트에서 URL 링크는 대부분 유튜브 동영상 링크나 출처들을 많이 설정하게 되는거 같네요.





하이퍼링크 설정완료가 되면 위 그림처럼 나타나는걸 볼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쇼를 실행해서 클릭해보면 정상적으로 링크가 동작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URL 링크가 아닌 문서내의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고 싶을때도 하이퍼링크 기능을 사용하면 됩니다. 아까와 마찬가지로 다른 문서로 이동시킬 글자나 이미지를 선택한 뒤 하이퍼링크 메뉴를 선택하세요.





ppt 하이퍼링크

하이퍼링크 삽입창이 뜨면 왼쪽 메뉴 중 현재문서 탭을 선택하세요. 그 후 내가 이동을 원하는 슬라이드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그 후 다시 파워포인트 창으로 나온 후 방금 설정한 하이퍼링크를 클릭해보면 다른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걸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파워포인트 하이퍼링크를 어떻게 설정하고 적용하는지 안내해 드렸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로 3D MAX나 프리미어 프로 렌더링 등 그래픽카드를 이용한 다양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고사양의 그래픽카드가 필요합니다. 


만약 내장 그래픽카드나 보급형의 그래픽카드를 이용하면 작업이 버벅 되면서 상당한 렉이 걸리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한번 그래픽카드를 구매할 때 보급형 보다는 중고가형의 그래픽카드를 구매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컴퓨터를 사용하는 분들 중에서 내 컴퓨터의 그래픽카드가 어떤건지 잘 모르고 사용하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제 주변 사람들도 그래픽카드가 무엇인지 확인하지 않고 그냥 사용하면서 게임할 때 렉 걸린다고 짜증을 호소하는 분들도 꽤 있네요.


그래픽카드 확인은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DirectX 진단도구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며, GPU-Z 같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자체 장치관리자 기능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아래서 장치관리자를 통해 내 컴퓨터 그래픽카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 노트북 그래픽카드 보는법 3초만에 알아보기


먼저 모니터 가장 밑쪽에 있는 윈도우 로고 버튼을 눌러주세요. 키보드의 윈도우키를 누르게 되면 바로 시작메뉴가 나타나게 됩니다.





컴퓨터 시작메뉴가 뜨면 제어판을 검색하세요. 그 후 제어판 항목을 마우스로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제어판 화면이 뜨면 가장 왼쪽 상단에 있는 시스템 및 보안 메뉴를 선택하세요.




시스템 및 보안 화면이 뜨면 시스템 메뉴를 선택하세요.





시스템 창이 뜨면 내 컴퓨터에 대한 간략한 사양을 보여주는 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는 내 컴퓨터의 프로세서 및 설치된 메모리, 시스템 종류 등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래픽카드를 확인해 보기 위해서는 왼편에 장치관리자를 선택해야 합니다.





장치관리자 창이 뜨면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이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 항목을 클릭하면 하위 메뉴가 뜨게 됩니다.





제 컴퓨터에서는 디스플레이 어댑터로 Intel HD Graphics 4000과 NVIDIA GeForce GT 645M 두가지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 두가지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 따라서 내장그래픽만 사용하실 수도 있고 외장그래픽을 장착했다면 외장그래픽 정보가 나타나니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래픽카드 속성 창에서는 드라이버 정보, 드라이버 날짜, 버전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드라이버 업데이트나 드라이버 롤백 기능도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내 컴퓨터 그래픽카드 보는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내 컴퓨터 또는 노트북의 그래픽카드 정보를 알고 싶다면 위 방법을 꼭 따라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터넷이나 여러 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다보면 중간중간 j2j라는 확장자로 되어있는 파일들이 꽤 있습니다. 처음에는 잘못받은건가 했는데 요즘 저작권 때문에 문제가 많아서 j2j25라는 유틸을 이용한다고 하네요. 


j2j25 프로그램은 파일의 확장자를 j2j로 변조하는 프로그램인데요. 파일들이 아무나 사용하지 못하도록 변조하는 역할을 해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j2j파일을 받을때마다 변환해야되서 조금 불편하기는 하지만 요즘 저작권때문에 대부분의 파일들이 이렇다니 어쩔수가 없네요. 저와 같이 j2j 파일때문에 문제가 있다면 아래 방법대로 해결해보세요.





j2j 압축풀기 j2j25 프로그램으로 간단하게 풀어보세요


언어 : 한글

제작자 : 알수없음

지원 OS : Windows XP 이상

공개여부 : 프리웨어

다운로드 : ① 
블로그에서 다운받기



먼저 위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후 실행합니다. 설치하려면 다음을 클릭합니다.





라이센스 관련된 내용이 적혀있습니다. 프리웨어 이며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및 재배포가 가능하다고 되어있습니다. 동의를 해주세요.






그 후 j2j 파일변환 프로그램인 j2j25 프로그램을 설치할 설치경로를 지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설치 버튼을 눌러서 j2j25를 설치 완료해 주시면 됩니다. 






설치완료한 뒤 j2j로 변조된 파일을 복원하기 위해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한 뒤 j2j25로 복원 버튼만 누르면 프로그램이 알아서 실행되면서 복원이 완료됩니다.






원래 있던 파일을 j2j로 변조시키고 싶다면 오른쪽 마우스 클릭 후 j2j25로 변조를 클릭하면 됩니다.


이렇게 초 간단한 방법으로 변조 및 복원이 가능하네요. 만약 이 방법도 불편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압축 유틸리티 반디집을 이용해도 j2j로 압축 및 해제가 가능합니다. 요즘 저작권 문제로 이러한 j2j 파일이 많은 듯 한데 이 프로그램만 있다면 문제 없겠네요!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애플 고객센터 전화번호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KT가 아이폰 3GS를 한국에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아이폰을 사용하는 유저들이 상당히 많아졌습니다.


저도 예전에 아이폰4를 구매해서 사용해 본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 애플 제품을 사용하다 보면 가끔 액정이 깨지거나 통화상태가 좋지 못하는 등의 여러가지 고장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애플 고객센터에 찾아가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리퍼를 맡기는 것이 좋습니다. 리퍼 신청을 하기 전에 궁금한 것이 있다면 애플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물어보는거 정말 좋은데요.


아래서 애플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애플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애플 고객센터 전화번호 알아보기


먼저 구글이나 다음 등 검색사이트를 이용하여 애플 사이트를 검색해주세요. 위 그림처럼 애플 공식 사이트가 나오면 이 사이트로 접속해 주시길 바랍니다.






애플 공식 홈페이지가 뜨면 Mac, iPad, iPhone, 애플 워치 등 다양한 제품군에 대해 알아볼 수 도 있습니다. 우리는 애플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알아보기 위해 상단 메뉴 중 고객지원 메뉴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고객지원 페이지가 뜨면 맨 하단에 있는 다양한 메뉴 중 지원 전화번호 메뉴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Apple에 지원 및 서비스 문의하기 메뉴가 뜨면 하단 그림 중 아시아 & 태평양 메뉴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아시아와 태평양에 존재하는 다양한 국가의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한국에 애플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080-333-4000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 같은 경우에는 0120-27753-5번 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위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애플 전화상담을 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하단에 주의사항을 보면 애플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변경될 수 있으며, 시내 및 시외 전화 요금이 부과 될 수 도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애플 고객센터 전화번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각종 에러에 마주치는 경우가 상당히 발생하게 됩니다. 저도 여러 컴퓨터 에러를 접해 보았지만 오늘은 처음보는 에러인 vcruntime140.dll 오류창이 발생하였네요.


vcruntime140.dll 오류의 경우 해당 파일이 컴퓨터에 없어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vcruntime140.dll 파일의 경우 Visual Studio 2015용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안에 들어 있는 파일인데요.


컴퓨터에 Visual Studio 2015용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와 같이 vcruntime140.dll 에러가 발생한다고 하네요. 


이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에 말씀드린 비주얼 스튜디오 2015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설치해 주면 해결이 되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이 에러를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vcruntime140.dll 에러 해결방법


vcruntime140.dll를 해결하기 위해서 구글에서 visual studio 2015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검색해서 해당 페이지로 접속하거나 아래 남겨드린 링크로 접속해 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48145





visual studio 2015 재배포 가능 패키지 페이지가 뜨면 우측에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visual studio 2015 재배포 가능 패키지 다운 전 버전을 선택하는 창이 나오게 되는데요. 내 컴퓨터가 64비트인지 32비트인지 확인 후 내 PC에 맞는 버전을 선택해주세요. 만약 내 컴퓨터의 버전을 모를경우 아래 글을 참고해서 확인해보세요.


[PC Tip] - 윈도우 32비트 64비트 확인방법




visual studio 2015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다운받은 후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소프트웨어 사용권 계약서 창이 뜨는데요. 해당 내용을 잘 읽어보고 설치 버튼을 눌러주세요.





visual studio 2015 재배포 가능 패키지가 설치되고 있는 중입니다. 설치가 종료 될 때까지 대기해주세요.





visual studio 2015 재배포 가능 패키지가 설치 완료되었습니다. 설치 완료된 후에는 자동으로 vcruntime140.dll 파일이 내 컴퓨터 안에 존재하게 되며, 아까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하였던 vcruntime140.dll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vcruntime140.dll 에러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넷플릭스 해지 정보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넷플릭스의 경우 한달에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미드와 영화,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동영상들을 감상할 수 있도록 제공해 주는데요. 요즘은 한국에서도 많은 분들에게 알려져 많이들 넷플릭스를 시청하고 있습니다.


저도 요즘 넷플릭스를 통해 다양한 동영상들을 시청하였는데 일반 IPTV에서 볼 수 없는 콘텐츠들이 많아서 상당히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넷플릭스의 경우 자동으로 매달 자동결제가 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영상 시청을 많이 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매월 나가는 금액이 부담이 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넷플릭스 해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넷플릭스 해지는 홈페이지에서 쉽게 할 수 있는데요. 어떻게 해지가 가능한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넷플릭스 해지 방법 PC에서 간단하게 해보기


먼저 넷플릭스 해지를 하기 위해서는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야 하는데요. 구글에서 넷플릭스를 검색한 후 나오는 공식 웹 사이트로 접속해 주시길 바랍니다.





넷플릭스 사이트에 접속하셨다면 상단 우측에 있는 로그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창이 뜬 경우 넷플릭스에서 사용중인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만약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잃어버리신 경우에는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메뉴를 이용해서 정보를 찾은 후 로그인을 진행해 주세요. 





로그인이 완료되었다면 넷플릭스 메인페이지 하단에 계정 메뉴를 선택해주세요.





계정 메뉴가 나타나면 내가 현재 사용중인 멤버쉽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결제 카드 정보를 확인해 볼 수도 있으며 왼쪽 상단에 멤버쉽 해지 메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중인 넷플릭스 해지를 진행해 볼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해지 버튼을 누르면 정말 해지를 할 지 다시 물어보는데요. 현재 사용중인 멤버쉽 종료 날자가 나타나며 10개월 이내에 다시 멤버쉽을 시작하면 계정정보가 그대로 남아 있다고 하네요.


정말로 넷플릭스 해지를 하기 위해서 하단에 해지 완료 버튼을 눌러주세요.



넷플릭스 해지가 완료되면 해지되었다는 창이 뜨게 됩니다. 하단에 있는 넷플릭스 해지 사유는 원하는 경우 선택하고 선택하기 싫다면 선택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지금까지 넷플릭스 해지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7zip 다운로드 및 압축해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7z 압축방식은 Igor Pavlov 개발자가 만들어낸 압축 포맷으로 오픈소스로 모든 내용이 공개되어 있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개선이 되고 있는 압축 알고리즘 중 하나입니다.


7z 압축파일 형식의 장점으로는 압축률이 높기 때문에 압축파일의 용량을 확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분할압축 및 Self-extracting EXE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많이 사용하고 있는 확장자 입니다.


한국에서는 대부분 zip이나 egg 파일 형식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7z 압축파일 형식을 잘 모르시는분들이 대부분인데요. 그래서 이러한 분들을 위해서 7zip 유틸리티 다운로드 및 압축풀기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7z 압축을 어떻게 해제하고 사용해야 하는지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방법을 잘 따라해 보시길 바랍니다.




7zip 다운로드 및 압축해제 방법 알아보기


먼저 7zip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설치를 먼저 해 줘야 하는데요. 7zip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구글에서 7zip 다운로드라고 검색을 하면 다운로드 페이지가 나오는데요. 해당 페이지로 이동해 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7-zip.org/download.html





7zip 다운로드 페이지가 뜨면 이제 내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되는데요. 설치파일의 경우 exe, 7z, msi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아주시면 되시며, 내 운영체제 버전에 맞는 32비트 또는 64비트 설치파일 중 하나를 다운로드 받아주시길 바랍니다.





7zip 설치파일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7zip을 설치할 설치 경로를 지정하는 창이 뜨는데요. 설치 폴더를 선택하신 후 install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인스톨 버튼을 눌렀다면 7-zip 프로그램이 내 컴퓨터에 설치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설치가 다 마무리가 될 때까지 조금만 기다려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close 버튼을 눌러 설치 창을 종료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7zip 설치가 완료되면 후 7-zip file manager를 실행시켜 주시면 이제 7zip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하실 수 있습니다.





7z 파일 형식으로 파일들을 압축하고 싶으신 경우에는 압축할 파일들을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하신 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른 후 7z에 추가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7z 압축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7z으로 압축된 파일을 확인해 보실 수 있으며 분할압축, 압축 레벨, 압축방식 등 다양한 압축설정도 직접 지정해서 압축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7z 파일 압축풀기를 하기 위해서는 압축파일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을 하신 후에 7zip에서 제공하는 압축풀기 메뉴를 사용하시면 7z 압축파일이 압축해제가 진행되겠습니다. 압축해제는 시간이 조금 더 소요될 수 있는점은 참고하시는게 좋습니다.


지금가지 7zip 다운로드 및 압축해제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이미지와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 소개해 드릴 프로그램은 adwcleaner 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설치된 애드웨어를 탐지하고 삭제를 해주는 프로그램인데요.


애드웨어란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불 필요한 광고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애드웨어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으면 지속적으로 광고가 나타나며, 컴퓨터가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워주는게 좋은데요.


adwcleaner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쉽고 빠르게 애드웨어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드웨어 제거 프로그램 추천 - adwcleaner


먼저 adwcleaner를 다운받기 위해 구글에서 adwcleaner를 검색하여 주세요. 그러면 공식 웹 사이트가 하나 나오게 되는데 이 사이트로 들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Malwarebytes adwcleaner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중간에 free download 버튼이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해당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를 진행해주세요.




자동으로 adwcleaner가 다운로드 진행되는데요. 만약 파일이 다운로드 되지 않으실 경우 중간에 있는 click here 버튼을 눌러 수동으로 다운로드를 받아주시길 바랍니다.





Malwarebytes adwcleaner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서비스 약관 동의 창이 나오게 되는데요. 잘 읽어본 후 동의할 경우 동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Malwarebytes AdwCleaner 8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지금검사 메뉴를 누르면 불필요한 애드웨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지금검사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 업데이트 및 데이터베이스 다운로드가 진행되게 됩니다. db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검사에 필요한 모듈을 로딩하게 됩니다.





내 컴퓨터 안에 불 필요한 애드웨어 프로그램이 있는지 검색 중인 상태입니다. 컴퓨터마다 스캔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잠시만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애드웨어 검색이 완료된 상태입니다. 만약 컴퓨터에 애드웨어가 있을 경우 위와 같이 결과가 나오게 되는데요. 하단에 격리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자동으로 애드웨어 제거가 진행됩니다.





애드웨어가 제거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제거가 완료될 때 까지 기다려주세요.





애드웨어들이 제거된 상태입니다. 컴퓨터 재부팅을 하면 정상적으로 제거가 완료됩니다. 지금까지 애드웨어 제거 프로그램인 adwcleaner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 대부분 1가구 당 한대씩은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가정이 많습니다. 저희 집에서도 많은 분들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데요.


요즘은 자동차를 구매하게 되면 기본옵션으로 네비게이션을 탑재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네비게이션은 거의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사용하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업데이트를 하지 않게 되면 없어진 길로 안내를 하거나 새로 생긴길을 인식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분기마다 한번씩은 네비게이션 업데이트를 해주는게 좋습니다.


요즘 국산 차 중에서는 대부분 현대나 기아 자동차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오늘은 현대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 업데이터 플러스(Smart Updater Plus)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쉽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한데요. 자세한 방법은 아래 글을 읽어보도록 하세요~ 




현대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방법 알아보기 - Smart Updater Plus


먼저 현대 네비게이션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는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 들어가야 합니다. 네이버에서 검색을 한 후 현대자동차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메인화면 왼편에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메뉴가 바로 나타나게 됩니다. 위 화면에 나타난 메뉴를 선택하세요.





그 후 현대 네비게이션 업데이트를 위해서 Smart Updater Plus 프로그램을 내려 받아야 합니다. 두번째에 있는 Smart Updater Plus 바로가기를 선택해 주세요.






그 후 업데이트 전용 프로그램인 스마트 업데이터 플러스(Smart Updater Plus)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야 합니다. 상단에 있는 버튼을 눌러 설치파일을 내려받아 주세요. 





설치파일을 정상적으로 내려받았다면 실행을 시켜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설치준비창이 나오게 됩니다.





현대엠엔소프트 스마트 업데이터 플러스 소프트웨어 사용권 내용과 지도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사용권에 대한 사용권 계약에 동의를 한다면 동의 버튼을 누른 후 설치를 계속 진행해주세요.




프로그램 설치 위치 및 바탕화면&시작메뉴에 바로가기를 만들건지 여부를 선택해주세요. 그 후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설치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완료될 때까지 잠시만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Smart Updater Plus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현대 블루멤버스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시길 바랍니다. 아이디가 없다면 회원가입을 하거나 비회원으로 진행을 해주세요.





그 다음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하려는 차량정보를 선택해주세요.





그 다음 지도 저장 위치를 선택해주세요. 기본적으로 하드디스크에 받는걸 권장합니다.






그 다음 모든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지도 파일을 내려받은 후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완료 될 때까지 잠시만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는 분들은 눈이 건조하거나 통증이 있게 됩니다. 이럴 때는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1시간에 10분씩이라도 꾸준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눈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저도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에 자주 창문 밖을 보면서 눈에 휴식을 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눈이 아프지 않게 하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중에 하나가 최적의 해상도를 설정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모니터 최적 해상도에 맞지 않는 해상도를 가진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윈도우10에서 해상도 변경방법은 설정 메뉴에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죠~




윈도우10 해상도 변경 방법 알아보기


윈도우10 해상도는 윈도우 설정메뉴에서 간단하게 조정해 볼 수 있습니다. 설정메뉴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바탕화면 하단에 있는 시작 버튼을 선택해야 합니다.





시작 메뉴가 뜨면 왼쪽에 파일 탐색기, 설정, 전원, 모든 앱 메뉴가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이 중에서 설정 메뉴를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설정 메뉴가 뜨면 시스템, 장치, 네트워크 및 인터넷, 개인설정, 계정, 시간 및 언어 등 다양한 설정이 볼 수 있는데요. 이 중에서 시스템 메뉴를 마우스로 클릭해 주시길 바랍니다.





윈도우10 해상도 바꾸기

시스템 설정에 들어갔으면 디스플레이, 알림 및 작업, 앱 및 기능, 멀티태스킹, 태블릿 모드, 배터리 절약모드, 전원 및 절전 등 여러가지 서브메뉴가 나타나는데요. 디스플레이 칸을 선택한 뒤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윈도우10 해상도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가 뜨면 중간에 해상도 설정 메뉴가 나타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해상도는 컴퓨터나 모니터 크기에 따라 설정가능한 범위가 다를 수 있는데요. 저는 노트북이라서 1366X768 해상도가 가장 최적의 해상도로 나타나네요. 해상도는 권장이라고 적혀있는 해상도를 선택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윈도우10 해상도 변경

해상도를 변경한 뒤 적용 버튼을 누르면 이 디스펠리이 설정을 유지할 지를 묻는 창이 뜨게 됩니다. 만약 변경한 해상도가 마음에 들고 잘 나올 경우에는 [변경한 설정 유지] 버튼을 누르면 되고, 만약 설정한 해상도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되돌리기] 버튼을 눌러서 원래 설정으로 돌아가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